전체 글 280

주린이의 주식 일기 (4/23 - 한화엔진)

🚀 한화엔진, 이제 시작이다! — 고성장 본격화, 지금이 매수 타이밍?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뜨겁게 떠오르고 있는 한화엔진(082740/KS)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실적 발표를 보면, "이 회사 이제 본격적으로 달린다"는 느낌이 확 듭니다. 과연 투자 매력은 얼마나 될까요?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1분기 실적, 시장 기대 '살짝' 상회! 한화엔진은 2025년 1분기 매출 3,182억원, 영업이익 223억원을 기록했어요.매출은 전년 대비 8.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무려 14.8%나 성장했습니다. 시장 예상치(207억원)도 소폭 넘겼죠.엔진 납품 대수는 30대로 소폭 줄었지만, 매출은 거의 변함이 없었어요. 그 이유는 바로 고부가가치 메탄올 이중연료(DF) 엔진 비중이 높아지면서 ..

주식정보 2025.04.23

주린이의 주식 일기(4/22 - 쓰리빌리언)

희귀질환 진단 혁신을 이끄는 스타트업, 쓰리빌리언(394800)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시장 한편에서 조용히 그러나 강하게 성장하고 있는 숨은 진주, **쓰리빌리언(394800)**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특히 AI와 유전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한 희귀질환 진단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인데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희귀질환 진단, 왜 중요한가?희귀질환은 각각의 환자 수는 적지만, 전체적으로는 꽤 많은 수를 차지합니다. 세계 인구의 약 10~15명 중 1명은 희귀질환을 앓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진단이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인데요. 미국 기준, 평균 5년 이상 걸리고 약 22만 달러가 소요된다고 합니다.기존에는 의심되는 유전자만을..

주식정보 2025.04.22

주린이의 주식일기 (4/20-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032350) 분석: 실적 개선과 리레이팅의 기회 롯데관광개발은 2025년 1분기에도 뚜렷한 실적 개선을 보이며 투자 매력을 높이고 있다.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카지노 부문은 방문객 수와 드롭액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분기 예상 매출은 1,219억원(YoY +15%, QoQ +10%)이며, 영업이익은 1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현재 주가는 저평가 국면에 진입해 있음을 시사합니다.📈 롯데관광개발(032350), 지금이 진짜 저점 매수 기회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롯데관광개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금 롯데관광개발은 꽤 매력적인 저점 매수 구간인거 같아요. 더 놀..

주식정보 2025.04.20

주린이의 주식 일기 (4/19-조선업항)

조선업 투자전망: 글로벌 LNG 열풍과 국내 조선소의 전략적 포지셔닝 최근 발표된 조선업 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조선업황은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LNG 운송 시장의 확장과 미국, 대만, 아르헨티나 등 주요국의 에너지 프로젝트 가속화가 주목할 만하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국내 주요 조선소들은 방산, 에너지 운송선 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관련 주식 투자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우선, HJ중공업의 미 해군과의 MRO(유지·보수·운영) 사업 논의는 전략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미 해군은 글로벌 작전 지역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3국 조선소 활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부산 영도조선소의 활용 가능성이 거론된 것은 ..

주식정보 2025.04.19

주린이의 주식일기 (4/20-KH 바텍)

KH바텍, 지금이 매수 기회일까? - 폴더블 그 이후의 성장 스토리 최근 주가가 크게 하락하며 관심에서 다소 멀어졌던 KH바텍(060720), 하지만 지금이 바로 다시 주목할 시점일지 모릅니다. 전문가 관점에서 본 KH바텍은 리스크는 낮고, 성장성은 뚜렷한 ‘매력적인 타이밍’에 와있습니다. 왜일까요?✅ 1. 실적, 예상대로 잘 나오고 있다KH바텍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보입니다.매출: 616억 원 (전년 대비 +12.2%)영업이익: 39억 원 (전년 대비 +20.9%)특히 티타늄 케이스 매출 확대와 엣지 모델 선행 생산 물량이 실적 개선에 기여하고 있어요. 여기에 우호적인 환율 효과도 긍정적으로 작용 중입니다.🚀 2. 힌지부터 전장까지, 실적 드라이브 본격화2..

주식정보 2025.04.15

주린이의 주식 일기 (4/15-알테오젠)

알테오젠: 플랫폼 기술로 글로벌 무대 정조준 알테오젠(196170)은 피하주사(SC) 제형 전환 기술인 하이브로자임(Hybrozyme)을 중심으로, 세계 유수 제약사들과 굳건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는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동사는 단순히 기술력을 보유한 수준을 넘어, 해당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실제 매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에서 고평가가 가능하다. 가장 눈에 띄는 투자 포인트는 Hybrozyme 플랫폼의 확장성과 상용화 가능성이다.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로 전환해 투약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 기술은, 머크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 다이이치산쿄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치료제 엔허투(Enhertu) 등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에 적용되고 있다. 키트루다 SC..

주식정보 2025.04.15

주린이의 주식 일기(4/11-HD현대일렉트릭)

HD현대일렉트릭 – 중장기 성장 가능성에 주목1. 실적 리뷰 및 부문별 흐름2024년 4분기 매출액은 8,157억원(+2.3% YoY), 영업이익은 1,663억원(+33.4% YoY)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20.4%로 높은 수준을 지속했으며, 고마진 전력기기 부문이 성장을 견인했다. 전력기기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고, 배전기기 역시 수출 및 국내 마진 개선이 병행됐다. 다만 회전기기는 국내 저압전동기의 수익성 하락이 있었으며, 종속법인은 일시적 납기 지연으로 외형 감소를 겪었으나 2025년 정상화가 예상된다.2.수주 현황 및 성장 모멘텀 4분기 신규 수주는 7.9억달러, 누적 수주잔고는 55.4억달러로 집계되며 강한 수주 흐름을 지속 중이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의 수요 확대가 핵심 동력으로 작용..

주식정보 2025.04.11

주린이의 주식일기 (풍산-4/9)

풍산(103140) 기업 분석 및 투자 전략1. 기업 개요와 최근 실적 풍산은 신동(구리 제품)과 방산 부문을 주력으로 하는 국내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2024년 기준, 매출의 75%가 방산 부문에서 발생하며, 이는 방산업체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모습입니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은 60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으며,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습니다. 신동 부문은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메탈게인 효과를 보였고, 방산 부문은 환율 우호적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이익률을 유지했습니다.2. 주요 재무 지표2025년 전망: 매출액은 4조 8,968억 원(+7.5% YoY), 영업이익은 2,956억 원(-8.7% YoY)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전년도 호실적의 기저효과로 인해 감익이 불가피한 상황..

주식정보 2025.04.09

주린이의 주식 일기 (4/4-메디톡스)

메디톡스(086900) 분석: 바닥 탈출과 턴어라운드 시점메디톡스는 2025년 1분기를 기점으로 실적 회복과 성장세를 보이며 투자 매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요 포인트를 중심으로 해당 기업의 현재 상황과 전망을 분석합니다. 1. 투자 포인트턴어라운드 시작: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555억 원(YoY +1.7%), 영업이익은 37억 원(OPM 6.7%)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됩니다. 이는 수출 증가와 내수 회복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목표주가와 상승 여력: 목표주가는 190,000원으로 현재 주가(140,900원) 대비 약 34.8%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이는 2025년 예상 순이익 355억 원과 PER 40배를 적용한 결과입니다.수출 확대: 브라질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30~40%)와..

주식정보 2025.04.04

주린이의 주식일기 (LG유플러스- 3/30)

LG유플러스: 2025년 이익 개선과 주주환원 확대 전망 1. 2025년 실적 개선 예상LG유플러스는 2025년 영업이익(OP) 1조 310억 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다시 1조 원대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대비 19% 증가한 수치로, 무선 서비스 매출 성장(+2.1%)과 B2B 사업 매출 성장(+4.4%)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특히, 감가상각비 증가 부담이 완화되며 영업이익률은 6.8%에서 7.1%로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무선 서비스: 2024년 매출액은 약 6.1조 원으로 연평균 성장률(CAGR) 3.4%를 기록하며, 경쟁사인 KT(2.2%)와 SKT(1.9%)를 상회했습니다.B2B 사업: 매출은 약 1.7조 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5.5%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

주식정보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