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4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23 - 동아쏘시오홀딩스 )

동아쏘시오홀딩스 특히 에스티젠바이오의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 확장과 DMB-3115의 상업화가 큰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1. CDMO 시장 내 에스티젠바이오의 성장 가능성 에스티젠바이오는 항체 바이오 생산설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송도에 위치한 9,000ℓ 규모의 생산설비를 통해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며, 이는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DMB-3115(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가 유럽 및 미국에서 곧 품목 허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른 상업화 물량 생산도 큰 매출 증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생물..

주식정보 2024.09.24

주린이의 주식일기 ( 9/22 - 삼화전기 )

삼화전기(코드: 009470)1.회사 개요 및 산업 배경 삼화전기는 1973년 설립된 이후 1986년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으로, 주로 전해콘덴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해콘덴서는 전해질을 유전체로 사용하는 콘덴서로, 저가형 제품은 가전 및 TV와 같은 생활가전에, 고가형 제품은 반도체, 자동차 및 신재생 에너지와 같은 하이엔드 시장에서 사용됩니다. 삼화전기는 그동안 저가형 콘덴서 시장에서 경쟁해 왔으나, 2023년부터 하이엔드 시장에서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며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2.주요 이슈데이터센터용 S-CAP 성장삼화전기의 S-CAP은 SSD에 탑재되는 고성능 전해콘덴서로, 일본 파나소닉의 탄탈 콘덴서를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SSD 내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전력을 ..

주식정보 2024.09.22

주린이의 주식일기 ( 9/21 - 제일일렉트릭 )

제일일렉트릭: 스마트홈과 에너지 혁신의 중심1. 최근 주가 동향과 시가총액 제일일렉트릭은 스마트홈 및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전기·전자 부품 기업입니다.시가총액은 약 1,902억 원입니다. 52주 최고가 14,100원에서 현재 가격은 절반 수준이지만, 향후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 여력이 큽니다. 현재 주가는 예상 실적 대비 저평가된 상태로 보입니다.Eaton과의 전략적 협력 제일일렉트릭은 Eaton에 AFCI(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PCB ASSY를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AFCI는 전기 화재를 방지하는 차단기 기술로, 특히 미국 시장에서 큰 수요를 얻고 있습니다. Eaton은 북미 전력 인프라 확장을 위해 생산능력을 늘리고 있어, 제일일렉트릭의 ..

주식정보 2024.09.21

주린이의 주식일기 ( 9/20 - 리가켐바이오 )

리가켐바이오(Ligochem Bio)1. 내용 요약리가켐바이오는 LCB84와 같은 차세대 항암제의 가능성과 경쟁사의 실패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AstraZeneca의 TROP2 ADC, Dato-DXd의 임상 성과가 기대를 밑돌았으며, 이는 리가켐바이오의 파이프라인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리가켐바이오의 주식은 현재의 저평가된 주가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매우 매력적인 투자 대상입니다. 특히, LCB84의 임상 시험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AstraZeneca와 Johnson & Johnson이 지배하는 폐암 치료제 시장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리가켐바이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이오 주식으로 추천할 만합니..

주식정보 2024.09.20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8 - 현대로템 )

방산의 내가 왕이 될 주식인가 ?현대로템1. 실적 분석 현대로템은 2024년 3분기 매출액이 11,185억 원, 영업이익이 1,16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7%, 184.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실적 개선은 주로 폴란드향 K2 전차 수출과 진행률 매출의 증가에 기인합니다. 또한, 공정률 상승에 따른 매출 증대와 4분기 성수기 효과도 실적을 견인하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4분기에는 38대의 K2 전차가 출고되며, 내년에 출고될 96대도 매출로 반영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실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추세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현대로템의 매출 성장은 단기적인 실적 향상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적인 수출 증가와 맞물려 있습니다. ..

주식정보 2024.09.18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7 - 에스티팜 )

에스티팜(237690) ( 9/17 - 101,800원 )1. RNA 치료제 시장의 성장 에스티팜의 주력 사업인 RNA 치료제는 현재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함께 가장 주목받는 신약 개발 분야입니다. CGT는 질병의 근본 원인이 되는 DNA/RNA를 타겟으로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복잡한 생산 과정과 높은 치료 비용으로 인해 상업적 성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반면 RNA 치료제는 희귀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시장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RNA 치료제는 siRNA와 ASO로 세분화되며, 이들이 특정 RNA를 타겟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은 매우 효율적입니다.2. CDMO 시장에서 에스티팜의 위치 CDMO는 치료제 개발사의..

주식정보 2024.09.17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6 - 바이넥스 )

바이넥스1. 미국 생물보안법과 CDMO 산업의 부상 올해 미국에서 발의된 생물보안법은 미국인의 개인 건강 정보와 유전자 데이터를 보호하는 동시에 중국 등의 생명공학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법안은 이미 미국 상원과 하원에서 통과되었고, 향후 대통령의 서명을 통해 확정될 예정입니다. 이는 기존에 중국의 우시바이오로직스와 같은 대규모 CDMO 기업에 의존하던 글로벌 제약사들이 새로운 파트너를 찾게 만들 가능성이 큽니다. 바이넥스는 이러한 글로벌 동향에 맞춰 새로운 고객을 확보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바이넥스가 오송 공장에서 5,000L 규모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새로운 고객 확보를 통해 가동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업적..

주식정보 2024.09.16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 15 - LIG 넥스원 )

LIG넥스원(079550)2분기 실적 분석 LIG넥스원의 2024년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6,047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22.2% 증가한 491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는 컨센서스를 각각 13.3%, 11.0% 하회하는 수치입니다. 이는 국내사업의 변동성으로 인한 일시적 요인 때문으로 분석되며, 하반기에는 이와 같은 부진이 정상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특히 국내 매출 비중이 86.4%에 달하지만 영업이익률(OPM)은 8.1%를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국내사업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향후 이 흐름이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수익성 증대가 기대됩니다.수출 전망: 천궁-II와 비궁 LIG넥스원은 글로벌 방산 수요 증가에 힘입어..

주식정보 2024.09.15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4 - 엘엔에프 )

주요 이슈 추석 연휴를 앞두고 9/13 국내 증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약세와 나머지 종목이 선전?해주는 상황으로 완료가 되었습니다. 주식 시장은 FOMC 금리인하 ( 0.25% or 0.5% ) + 금투세 24일 정책 토론 두가지 큰 이슈를 추석 연휴 전후로 앞두고 있어서 약간의 두려움이 있지만, 모두 두려울때가 용기를 낼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소외된 2차 전지 엘앤에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엘엔에프 ( 90,400원 - 9/13일 기준 )1.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엘앤에프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제시되었으며, 목표주가는 140,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91,200원의 현재 주가(2024년 8월 12일 기준) 대비 53.5%의 상승 여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승 가능성은 ..

주식정보 2024.09.14

주린이의 주식일기 ( 9/13 - GS글로벌 )

GS 글로벌1. GS 글로벌의 사업 구조와 성장 동력 GS 글로벌은 무역/유통, 물류, 제조, 신사업의 네 가지 주요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중 무역/유통 부문이 전체 매출의 93%를 차지하며, 철강과 석유화학 제품을 주요 기업들과 거래하는 것이 주력입니다. 물류와 제조 부문은 매출 비중이 작지만 성장 가능성이 있으며, 신사업 부문은 태양광, 전기차, 헬스케어 등의 미래 지향적인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재무 성과 분석 2024년 상반기 GS 글로벌은 1조 9,19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무역/유통 부문이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제조 부문도 친환경 에너지인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사업에서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152.34%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

주식정보 2024.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