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237690) ( 9/17 - 101,800원 )
1. RNA 치료제 시장의 성장
에스티팜의 주력 사업인 RNA 치료제는 현재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함께 가장 주목받는 신약 개발 분야입니다. CGT는 질병의 근본 원인이 되는 DNA/RNA를 타겟으로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복잡한 생산 과정과 높은 치료 비용으로 인해 상업적 성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반면 RNA 치료제는 희귀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시장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RNA 치료제는 siRNA와 ASO로 세분화되며, 이들이 특정 RNA를 타겟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은 매우 효율적입니다.
2. CDMO 시장에서 에스티팜의 위치
CDMO는 치료제 개발사의 위탁을 받아 생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RNA 치료제 시장의 성장은 CDMO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며, 에스티팜은 이 분야에서 선제적으로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하며 경쟁사 대비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스티팜은 제2올리고동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을 대폭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몇 년간 매출과 이익의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3. 미중 갈등이 주는 기회
미중 갈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지면서, 중국 경쟁사인 Wuxi Apptec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에스티팜은 높은 기술력과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수혜를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미국 및 유럽 제약사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RNA 치료제 시장의 꾸준한 성장과 에스티팜의 생산 역량 확장, 그리고 상업화 제품 파이프라인의 성장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5. 리스크와 결론
물론, RNA 치료제 시장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일부 치료제의 임상 실패 가능성, 경쟁 심화, 생산 지연 등의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에스티팜은 선제적인 투자와 플랫폼 기술 개발로 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으며, 특히 mRNA 캡핑(capping) 및 전달 기술 분야에서의 확장은 추가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입니다.
투자자들에게 에스티팜은 안정적인 중장기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RNA 치료제 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주식 시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 관점에서 매수(Buy)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 주가 달성을 위해 기업의 추가적인 성과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일기 ( 9/20 - 리가켐바이오 ) (1) | 2024.09.20 |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8 - 현대로템 ) (1) | 2024.09.18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6 - 바이넥스 ) (7) | 2024.09.16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 15 - LIG 넥스원 ) (7) | 2024.09.15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9/14 - 엘엔에프 ) (9) |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