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내용 및 정리
오늘 주식 시세에 큰 이슈는 중국의 회복세로 인한 중국 경기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식 포트폴리오에 중국 관련 주식을 추가해야 된다는 내용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며, 여행 관련 하나투어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하나투어 ( 60,000원 - 5/20일 기준 )
목표주가 - 85,000원
투자 분석 및 전망 요약 분기별 실적 전망
2분기: 비수기의 영향으로 송출객 수가 전분기 대비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계절적인 요인으로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3분기: 성수기 및 추석 연휴 효과로 최대 실적 경신이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장거리 여행 수요의 증가로 인해 이익률이 개선될 전망입니다.
패키지 및 FIT 부문 전략: 패키지여행의 고성장세와 FIT(개별자유여행) 확대 전략을 통해 중장기적인 높은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중국 패키지 부문은 계절성과 무관하게 4월까지 송출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2024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적 및 투자 전망: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는 온라인 판매 비중 확대, 고가 패키지 판매 증가, 영업 레버리지 효과 등에 기인하여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12월까지 코로나 이전 수준인 월 송출객 수 30만 명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되며, 2025년에는 월평균 30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현재 컨센서스보다 40% 높은 영업수익 서프라이즈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온라인 비중 확대, 무형자산상각비 소멸 효과 및 영업 레버리지 효과를 고려할 때, 영업이익은 더 큰 서프라이즈가 예상됩니다.
앞으로의 주식 전망: 현재 주가는 기대 이상의 실적 개선세에도 불구하고 저평가되어 있으며, 이는 대주주 매각에 대한 과도한 우려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패키지 부문의 성장세가 가파르고 모바일 앱 고도화로 FIT 부문의 성장도 기대됨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높은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주요 포인트 성장 가능성: 장거리 여행 수요 증가, 중국 패키지 부문의 지속 성장, FIT 부문의 확대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세 유지 기대.
실적 개선: 영업 레버리지 및 무형자산상각비 소멸 효과로 영업이익 서프라이즈 가능성. 투자 매력: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으며, 대주주 매각 우려가 과도합니다.
기업 IR 분석 내용
송출객 수 회복세와 향후 전망 회복세가 더딘 이유 회복 시작 시점
패키지 여행의 본격적인 회복은 지난해 3분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올해는 1분기가 아닌 연말로 갈수록 송출객 수가 증가하는 상저하고의 패턴이 예상됩니다.
중국 시장 회복 지연
중국 시장의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었습니다. 올해 1, 2, 3월에는 계절성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완전한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향후 전망 중국 제외 패키지 회복률
현재 중국을 제외한 패키지 회복률은 60%이며, 2024년 12월까지 100% 회복이 기대됩니다. 올해 월 송출객 수는 평균 20만 명, 내년에는 30만 명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2024년 및 향후 인력 채용 계획 현재 인력
1분기 말 기준으로 2,380명으로, 이 인원은 월 송출객 수 25만 명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향후 채용 계획
올해 연말에는 월 30만 명 예상되므로 인력을 2,500명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2025년에 월 송출객 수가 30만 명 이상 기록될 경우 추가 채용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분기 전망 송출객 수
2분기 송출객 수는 1분기 대비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평균 판매 가격(ASP)
유럽 패키지 판매 비중이 확대되면서 1분기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4년 성장 모멘텀 송출객 수 증가
월 평균 송출객 수가 20만 명에서 내년에는 30만 명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송출객 수가 40% 이상 증가하는 것입니다.
매출 성장
회복에 따른 매출 성장과 함께 중고가 패키지 비중 및 온라인 채널 비중 확대를 통해 실적 확대가 지속될 것입니다.
패키지 이외 부문의 중장기 성장 계획 FIT 부문
전체 송출객 수 중 FIT 부문을 5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내년에는 다이내믹 패키징 출시를 통해 FIT 부문에서의 수익성 및 송출객 수 확대가 기대됩니다.
결합상품
2024년과 2025년에는 패키지만으로도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며, 결합상품까지 성장 가시화되면 밸류에이션 매력이 더욱 강해질 것입니다.
시장 점유율(MS) 회복 전략 점유율 하락 원인
패키지 여행 시장의 회복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되면서 시장 점유율(MS)은 후행적으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경쟁사의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인해 전체 송출객 수는 과거 수준까지 회복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향후 전략
연말에 월 송출객 수 30만 명 달성 시 점유율 회복이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바일 앱 서비스 확장을 통해 FIT 부문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과거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전세기 매출 및 향후 전망 전세기 매출 확대
코로나 이후 최대 수준으로 전세기 매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패키지에 전세기를 활용하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어 영업이익률(OPM) 개선에 기여합니다.
계절성
1, 3분기에 전세기 이용이 크게 늘 예정이며, 물량 소화 능력이 중요한데 현재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매각 진행 현황 및 배당 정책 매각 진행 현황
주관사 선정 중이며, 1년 내 매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사업 전략 방향성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당 정책
중간 배당과 특별 배당은 지난해 정관 변경으로 가능해졌으나, 장기적 성장 관점에서 현금 여력을 고려해 논의 중입니다.
KH 바텍 ( 15,500원 - 5/20일 기준 )
목표주가 - 21,000원
투자 분석 및 전망 요약 폴더블 디바이스 출시 기대와 투자 매력 폴더블 디바이스 출시
2024년 하반기 폴더블 제품 출시로 인해 주가 매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매수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로 실적 성수기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예상 실적 기준 P/E는 9.7배로, 과거 평균(2021~23년) 15.4배 대비 저평가된 구간입니다. 국내 대표 폴더블 부품 업체로서 시장 성장 가속화에 주목할 타이밍입니다.
1분기 2024년 실적 리뷰 및 주요 모멘텀 1 Q24 실적 리뷰
1Q24 영업이익은 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5% 증가했습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신한 추정치에 부합하였으며, 티타늄 케이스 등 기타 매출 확대가 실적 성장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4 Q23 실적에 이어 1Q24에도 고성장을 기록하였으며, 기타 매출액은 225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56%, 전년 대비 235% 증가했습니다. 매출 확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영업이익률은 5.8%로 전년 대비 2.9% p, 전분기 대비 0.3% p 증가했습니다.
2024년 주요 모멘텀
폴더블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2019~2025)은 95%로 전망되며, 국내 주요 폴더블 디바이스 제조업체와의 레퍼런스를 확보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 성장 가속화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2024년 조립모듈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2,814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티타늄 케이스의 경우 본격적인 실적 기여가 예상되며, 분기 실적 변동성 완화에 긍정적입니다. 2024년 AI 기능 확대에 따라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5%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산업 회복 진입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하나투어에 대해 공부해 보있습니다. 반도체 일변도였던 분위기가 확실히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폭 넓은 시야로 공부해 봅시다.
의견이나 댓글 남겨 주시면 더욱 공부해 보겠습니다.
E-mail : jjinujjang@naver.com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 일기 ( 5/23 - 한화솔루션, 인텍플러스 ) (0) | 2024.05.23 |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5/21 - 해성디에스, 두산로보틱스 ) (0) | 2024.05.22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19 - 라면 , 삼양식품 주가, 농심 주가 ) (1) | 2024.05.19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18 - 원텍, HPSP ) (0) | 2024.05.18 |
주린이의 주식 일기 5/16 ( 리노공업, 하나머티리얼즈, 켐트로닉스 ) (4)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