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오늘 주식시장의 시세 및 주식 시장 공부를 헤 보겠습니다.
시장 소식은 금과 구리 가격은 끝없는 상승을 이어 가고 있으며, 내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따른 시장 변화도 잘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소외된 2종목 해성디에스와 두산로보틱스에 대하여 공부해 봅시다.
해성디에스 ( 49,700원 - 5/21일 기준 )
목표주가 - 67,000원
해성디에스의 전장 회복이 시작되면서 하반기 DDR5의 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실적은 전장용 리드프레임과 패키징 기판의 매출 회복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209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8% 증가하여 컨센서스에 부합했습니다. 특히, 전장용 리드프레임 매출의 회복이 이익률 개선에 기여하며 수익성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차량용 반도체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전장용 리드프레임의 분기별 수주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IT용 리드프레임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입니다.
전장용 리드프레임의 실적 회복은 2024년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DDR5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패키징 기판 매출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DDR5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12%에서 2024년 27%로 상승할 전망이며, 3분기부터 DDR4를 역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DDR5용 패키징 기판을 공급하는 해성디에스는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됩니다. DDR5향 FC-BOC는 DDR4 대비 15~20% 이상 높은 ASP를 기록하여 믹스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해성디에스는 2024년 매출액 6,855억원, 영업이익 1,048억원으로 전망되며 본격적인 실적 성장은 2025년에 가시화될 전망이지만, 2분기부터 점진적인 실적 상승이 기대됩니다. 또한 2024년 11월 창원 공장 신규 증설이 완료되면 2026년 신규 CAPA 풀가동 시 매출 레벨은 9,500억원에서 1조원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성디에스는 불황기에도 10% 중반대의 마진율을 유지하며 탄탄한 이익 체력을 바탕으로 업황 회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 ( 72,300원 - 5/21일 기준 )
목표주가 - 67,000원
1분기 실적 요약
두산로보틱스는 2024년 1분기 매출액 108.9억원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으나, 전 분기 대비 35.5% 감소했습니다. 영업적자는 68.9억원으로, 작년 1분기의 45억원 및 지난 분기의 31억원 적자에 비해 적자 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실적 부진 원인
- 고금리 지속: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금 조달 비용 증가.
- 중동 전쟁: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가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유럽 회복세 지연: 유럽 시장의 회복이 예상보다 더딤.
영업 적자가 확대된 이유 중 일회성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CES (Consumer Electronic Show :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관하는 연례 무역 박람회 ) 행사 참가 비용 CES 행사 참가로 인한 일회성 비용.
- R&D 투자 세액 공제 관련 일회성 용역 수수료: 연구개발 투자와 관련된 일회성 비용.
지역별 매출 성장률
- 북미: +79.4% YoY
- 국내: +14.4% YoY
- 유럽: -47.7% YoY
- 기타 아시아: -21% YoY
매출 비중은 국내 46%, 북미 32%, 유럽 18%, 기타 아시아 국가 4%입니다.
협동 로봇 시장 성장 지연
긍정적인 부분으로는 솔루션 매출이 전년 대비 28.9% 성장하고, 북미 지역의 높은 성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협동 로봇 시장이 예상보다 혁신적이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낮은 산업 성장률: 협동 로봇 시장의 성장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함.
- 높은 경기 민감도: 경제 상황에 따라 수요가 크게 변동.
- 낮은 채택률: 협동 로봇의 보급률이 아직 낮음.
산업 성장률은 미국 금리 인상 정책과 유럽 전쟁 여파로 정체 상태에 있습니다. 혁신 산업으로 보기에는 경기 민감성이 매우 높고 산업 로봇과 협동 로봇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향후 전략 및 전망
두산로보틱스는 하반기에 적재 전용 30kg 고가반 모델 출시와 기존 H 시리즈의 신규 모델 확장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또한 IPO 자금을 활용하여 M&A를 모색 중입니다.
상장 1년 시점에서 모회사 두산의 락업 해제로 인해 일부 주식 물량이 출회될 가능성이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과 고금리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2종목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많은 변화를 겪고 시장 성격이 바뀌는 상황으로 앞으로 주의와 공부가 많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의견이나 댓글 남겨 주시면 더욱 공부해 보겠습니다.
E-mail : jjinujjang@naver.com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니냐가 다가 온다. (2) | 2024.05.24 |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5/23 - 한화솔루션, 인텍플러스 ) (0) | 2024.05.23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5/20 - 하나투어 ) (0) | 2024.05.21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19 - 라면 , 삼양식품 주가, 농심 주가 ) (1) | 2024.05.19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18 - 원텍, HPSP )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