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주린이의 주식일기 ( 6/4 - 파인엠텍 )

찌누짱 2024. 6. 4. 00:56

주요 이슈

금일 미국 주식은 반도체의 오랜만에 하락하였으며, 국내 주식 시장은 유전 개발의 이슈로 가스주가 급등하였으나, 실제 실현 가능성은 20%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6월 13일 애플관련 주식은 파인엠텍에 대하여 공부해 봅시다.

파인엠텍 ( 10,200원 - 6/3일 기준 )

사업 확장 및 전망

1.사업 확장 내장힌지 사업

 MS VINA를 중심으로 주요 고객에게 독과점 공급 중. 안정적인 실적 성장으로 Cash-Cow 역할을 수행.

2. 외장힌지 사업

 VINA CNS에서 생산 중. 공급처 다원화를 통해 신규 사업 진출. 올해 본격적인 공급 원년으로, 5월부터 크래들 힌지, 3분기부터 스마트폰 외장힌지 공급이 예상되어 큰 폭의 실적 성장 기대.

3. EV부품 사업

 VINA CNS에서 생산. 헝가리 법인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업체에 공급 중.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위해 3공장을 신축 중(공정률 87% 진행). 8월부터 3공장을 통한 본격적인 양산 예정.

4. 2024 & 2025년 전망

 2024년: 예상 매출액: 5,148억원 (전년대비 35.5% 증가).

 예상 영업이익: 360억원 (전년대비 77.0% 증가).

 2025년: 예상 매출액: 6,927억원 (전년대비 34.6% 증가).

 예상 영업이익: 532억원 (전년대비 47.7% 증가).

 현재 주가 2024년 실적 기준 PER 12.1배로, 국내 유사업체 평균 PER 11.8배와 유사한 수준. 2025년 외장힌지 및 EV부품 공급 안정화를 기준으로는 할인되어 거래 중. 주요 내용 독과점 공급 및 안정적인 매출 성장 주요 고객에게 독과점 공급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함께 Cash Cow 역할을 수행. 이원화 추진이 진행 중이나, 여전히 9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가격 및 품질 경쟁력 신소재 및 신가공법 적용으로 단가 인하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ASP(평균 판매 가격)를 유지.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성장 주요 고객사인 SDC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 급성장 예상. IDC에 따르면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4년 연속 10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의 폴더블 라인업 확대와 보급형 폴더블폰 출시 예상이 매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

 생산 능력 (CAPA) 베트남 법인인 'MS VINA'에서 연간 4,200만개 생산 가능. 2025년 6,000만개, 2026년 8,400만개까지 생산 능력 확대 예정. 소재 국산화 및 기술 확보 Ti Alloy 소재 국산화를 통한 가격 및 품질 경쟁력 확보. 메탈 및 비메탈(CFRP, GFRP) 가공 기술 확보. 내장 힌지 전(全) 공정의 내재화를 통해 원가 경쟁력 확보. 파인엠텍의 내장힌지 사업은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더불어 새로운 시장에서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과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외장힌지 사업 성장 가능성: 내장힌지 사업에 이어 외장힌지 사업으로 확장하면서 폴더블 기구 부품 전문업체로 성장 가능. 국내 경쟁사가 있지만, 이미 플립 제품에 대한 퀄리티 승인을 받은 상태로 올해 본격적인 매출 성장 기대. 시장점유율 목표는 20%. 크래들 힌지 사업: 스마트폰 외에도 크래들 힌지 사업에 성공적으로 진출. 올해 5월부터 크래들 힌지 공급 시작, 3분기에는 외장힌지 공급 기대. 올해 매출액 600억원 예상, 2025년 1,400억원, 2026년 2,300억원 목표. 생산 능력 (CAPA): 베트남 법인인 'VINA CNS'에서 생산 진행. 올해 연간 1,200만개 CAPA 확보, 2025년 1,500만개, 2026년 2,000만개까지 확대 예정.

 EV 부품 사업 주요 제품: EV 배터리 기구 부품인 'End Plate'를 주력 제품으로 생산. 파생 제품으로 확대 예정. 공급 및 매출 목표: 올해부터 본격 양산을 통해 북미, 유럽 완성차 업체에 공급 진행 중. 지난해 매출 138억원, 올해 목표 550억원, 2025년 1,200억원, 2026년 1,800억원 목표. 생산 능력 (CAPA): 'VINA CNS' 공장에서 생산, 헝가리 법인을 통해 공급. 현재 3공장 신축 중(공정률 87%), 8월부터 3공장을 통한 본격적인 양산 예정. 올해 연간 250만개 CAPA 확보. 파인엠텍은 외장힌지 및 EV 부품 사업으로의 확장을 통해 폴더블 기구 부품 전문업체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들은 베트남 법인에서의 생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공격적인 CAPA 확대와 시장 점유율 목표를 통해 매출 성장과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 부문별 기여도

 내장힌지 사업: 전체 매출의 76.9% 차지, 안정적인 성장 지속 외장힌지 사업: 지난해 매출액 3억원에서 올해 597억원으로 증가 EV 부품: 지난해 138억원에서 올해 530억원으로 284.1% 증가 예상 2025년 실적 전망 매출액: 6,927억원 (전년 대비 34.6% 증가) 영업이익: 532억원 (전년 대비 47.7% 증가) 영업이익률: 7.7% (2024년 7.0%에서 상승) 사업 부문별 기여도: 내장힌지 사업: 안정적인 매출 성장 지속 외장힌지 사업: 매출이 전년 대비 129.5% 증가 EV 부품: 매출이 전년 대비 110.0% 증가 주가 및 PER (주가수익비율) 2024년 실적 기준 PER: 12.1배 (국내 유사업체 평균 PER 11.8배와 유사) 주요 요점 내장힌지 사업: 여전히 회사 매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며 안정적인 성장 유지. 외장힌지 사업: 본격적인 공급 시작으로 큰 폭의 매출 증가 기대. EV 부품 사업: 급격한 매출 성장 예상, 새로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전망. 수익성: 매출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률도 지속적으로 개선될 전망. 내장힌지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 기반 위에 외장힌지와 EV 부품 사업의 높은 성장률을 통해 매출과 수익성 모두에서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파인엠텍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주식 시장의 성격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모두 공부 열심히 해서 투자의 안목을 높여야겠습니다.

 

의견이나 댓글 남겨 주시면 더욱 공부해 보겠습니다.

E-mail : jjinujjan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