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이슈
주식시장은 현재 개별 종목 장세 속에 화장품주가 주도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은 엔비디아의 강세가 시장 컨센서스 분석에서 향후 2030년까지 30%가 최대 성장치라는 전망으로 주가는 부진한 상황속에 새로운 주도주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 단기적으로는 애플 관련주가, 중장기적으로는 화학 및 의학주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애플 관련 덕산네오룩스와 의학 이수앱지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덕산 네오룩스 ( 45,250원 - 5/31일 기준)
목표주가 - 30,000원
투자 포인트 요약 및 분석
- 삼성전자 중저가 스마트폰 OLED 패널 적용 확대
- 상황: 삼성전자가 갤럭시 A 시리즈 (A15, A35, A55 등) 중저가 스마트폰에 OLED 패널을 더 많이 적용하고 있다.
- 영향: 삼성디스플레이의 리지드 OLED 패널 생산량이 전년 대비 증가, 주력 소재 공급사인 동사의 수혜가 예상됨.
- 주요 제품: 동사의 HTL, R’, G’, 레드 호스트 등이 리지드 OLED 패널에 다양하게 적용됨.
- 기대 실적: 2024년 동사의 예상 매출액은 2,0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488억원으로 49%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애플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 예상
- 출시 시기: 2026년 하반기.
- 제품 형태: 7~8인치 북타입, 갤럭시 Z폴드보다 넓은 화면비 예상.
- 기술적 요구: 삼성디스플레이의 무편광필름 OLED 패널 방식 채택 예상, 동사의 Black PDL 필수 적용.
- 영향: 애플 폴더블 스마트폰으로 인해 2027년 예상 영업이익은 약 150억원, 이는 2024년 예상 영업이익의 30% 비중.
- 시장 기대: 애플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시가총액 상승 여력은 약 50%로 예상.
종합 평가
삼성전자 중저가 스마트폰에 OLED 패널 적용 확대와 애플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가 동사의 실적과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실적 성장세가 뚜렷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2026년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애플 폴더블 스마트폰의 출시는 중장기적으로 큰 모멘텀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수앱지스 ( 6,450원 - 5/31일 기준 )
기업 개요
이수앱지스는 2001년에 설립된 이수그룹 계열의 바이오 기업으로, 2009년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이수앱지스는 희귀의약품 시장에서 벌어들인 돈을 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어내고 있습니다.
주요 주주 및 인력 구성
- 대주주: 이수화학 (31.8% 지분 보유)
- 임직원 수: 175명 (R&D 인력 44명, 25.1%)
시장 환경
- 최근 FDA의 다양한 인센티브 도입과 글로벌 빅파마들의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의 L/O(라이선스 아웃) 및 M&A 증가로 인해 희귀의약품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및 상업화 현황
-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
-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
- 혈전 억제제: 클로티냅
2023년 실적
- 매출액: 543억원 (전년 대비 32% 성장)
- 영업이익: 39억원 (흑자 전환 성공)
주요 제품별 시장 및 성과
- 애브서틴 (고셔병 치료제)
- 기전: 유전적으로 결핍된 세포 내 리소좀의 글루코세레브로시데이즈 효소를 대체하는 효소 대체요법제(ERT)
- 국내 시장 점유율: 49%
- 수출 확대: 중동, 북아프리카, 러시아, CIS 국가로 수출. 2021년 77억원, 2022년 186억원, 2023년 245억원의 수출액 기록
- 주요 타깃 시장: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
- 향후 전망: 이라크 품목허가 신청, MENA 지역 고셔병 치료제 시장 규모 약 2,000억원
- 파바갈 (파브리병 치료제)
- 기전: 알파 갈락토시다제 A 효소를 보충하는 효소 대체 치료제(ERT)
- 국내 시장 점유율: 38% (2위)
- 주요 경쟁 제품: 사노피의 파브라자임, 다케다의 레프라갈
- 2023년 매출: 125억원
- 글로벌 확장: 2023년 러시아 진출, 2025년 대만 시장 공급 예정
혁신적인 R&D 파이프라인
- 알츠하이머 치료제 (ISU203)
- 타겟: 과발현된 acid sphingomyelinase (ASM) 효소
- 전임상 성과: 염증 및 아밀로이드 베타 수치 감소 확인
- 향후 계획: 기존 치매 치료제와의 병용 가능성 및 기술 이전 추진
- 항암제 (ISU104)
- 타겟: HER3 (HER2 미발현 암종에도 사용 가능)
- 임상 현황: 1상 완료, CAR-NK 또는 ADC로 개발하여 기술수출 가능성 모색
종합 평가
이수앱지스는 희귀의약품 시장에서 벌어들인 돈을 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실적 성장과 혁신적인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중동, 북아프리카 등 틈새시장을 공략하여 성공적인 수출 확대를 이루었으며,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 수출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이수앱지스는 충분한 투자 매력도를 지닌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투자 포인트
1: 돈을 버는 흑자 바이오, 원가율 하락에 따른 구조적 이익 개선
이수앱지스는 2023년 해외 매출 확대를 통해 창사 이후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으며, 2024년 1분기에도 흑자를 지속하며 4개 분기 연속 영업흑자를 시현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바이오텍으로서는 드물게 외부 자금 조달 없이 자생적인 R&D 시스템을 갖추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영업 현금흐름이 개선되어 추가 자본 조달에 따른 지분 희석 우려를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원가율 하락에 따른 구조적 이익 개선
- 해외 수출 증가와 생산성 향상
- 고정비 감소: 해외 수출 증가로 인해 제품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고정비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 배양기 변경 및 Scale-up: 주력 제품인 애브서틴과 파바갈의 배양기 변경 및 대규모 생산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켰습니다.
- 일회성 비용 반영: 일회성 PV 배치 폐기 비용을 원가에 반영 완료하여 원가 절감 효과를 극대화했습니다.
- 영업 레버리지 효과
- 매출 증가: 애브서틴과 파바갈의 수출처 확대에 따른 매출 증가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수출국 확대: 애브서틴의 수출국이 확장되고 있으며, 파바갈의 러시아/CIS 국가로의 본격적인 수출이 시작되었습니다.
- 2024년 실적 전망
- 매출액: 704억원 (전년 대비 29.6% 증가)
- 영업이익: 128억원 (전년 대비 229% 증가, 영업이익률 18.2%)
- 주요 성장 요인: 애브서틴의 수출국 확대와 파바갈의 러시아/CIS 국가로의 수출 본격화
- 연구개발비 안정화
- 2023년 알츠하이머 임상으로 인한 일시적인 연구개발비 증가 이후, 2024년에는 연구개발비가 100억원 초반 수준으로 안정화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2종목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투자라는 부분은 모르면 모르는데로 어렵고, 알면 생각데로 되지 않아 어려운 부분이 많은 영역이지만, 어떤 수준을 넘는 학습이 되면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일기 ( 6/5 - 세진중공업, 휴메딕스 ) (0) | 2024.06.05 |
---|---|
주린이의 주식일기 ( 6/4 - 파인엠텍 ) (0) | 2024.06.04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5/31 - 반도체 업항 , 이수페타시스 ) (0) | 2024.05.31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30 - 태웅 ) (0) | 2024.05.30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29 - 에코프로비엠, 대덕 전자, 한솔 바이오파마 )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