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주린이의 주식일기 ( 5/29 - 에코프로비엠, 대덕 전자, 한솔 바이오파마 )

찌누짱 2024. 5. 29. 00:50

주요 이슈

오늘 미국장은 휴장으로 한국 시장에 영향을 주지 못했고, AMD의 삼성전자 반도체 선택 사용 언급으로 소부장 주식의 변동이 있던 하루입니다.

 지금부터 3종목 공부해 봅시다.

1. 에코프로비엠 ( 196,000원 - 5/28일 기준 )

목표주가 : 150,000원

  1. 목표주가 산출 방식:
    • 2027년 예상 EPS(주당순이익)에 2027~2029년 전세계 및 북미 전기차 배터리 수요 연평균 성장률에 기반한 PEG 1.0을 반영.
    • P/E(주가수익비율) 22.0배를 적용해 목표 주가를 산출.
  2. 밸류에이션 부담:
    • 주가가 지난해 7월 고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밸류에이션이 높다고 판단.
    • 2026~2027년 예상 실적이 Bloomberg 컨센서스와 비교했을 때 낮지 않지만, 주가는 반드시 실적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언급.
  3. 시장 및 수요 전망:
    • 북미, 유럽 전기차 수요 부진과 양극재 가격 하락.
    • 유럽과 신흥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의 점유율 하락.
  4. 밸류에이션 정상화 필요성:
    • 지난해 FOMO(놓치기 싫어하는 심리)로 인해 주가 급등.
    • 현재는 밸류에이션 정상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5. 2024년 2분기 실적 전망:
    • 매출액은 8,6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감소하고, 전분기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영업이익은 -65억원으로 적자 전환 예상.
    • 북미, 유럽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로 인해 양극재 수요 회복이 지연.
    • 주요 고객사인 삼성SDI와 SK온의 유럽 OEM향 출하 비중이 높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
    • 리튬 가격 하락으로 인해 판가가 약 20% 하락할 것으로 예상, 이에 따라 적자 발생 예상.
    • 하반기에는 리튬 가격 안정화로 수익성 개선 예상, 본격적인 물량 회복은 2025년 예상.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재는 관망을 추천하는 상황입니다.

 

2. 대덕전자 ( 23,350원 - 5/28일 기준 )

  1. 매출 증감률과 재고 자산 증감률의 변화:
    • 매출 증감률이 재고 자산 증감률을 앞서기 시작하며, 이는 회복의 초기 단계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동사의 재고 자산은 1.6년 동안의 재고 조정을 거쳐 업사이클이 시작되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
  2. 밸류에이션 분석:
    • 상장 이후 바닥 밸류에이션은 12MF P/B 1.2배였으며, 이는 2.1만원에 해당합니다.
    • 현재 주가 기준으로 약 10%의 다운사이드가 내포되어 있지만, 1Q24 기준 적자를 확인했기 때문에 이 구간까지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합니다.
    • FC-BGA 및 메모리 기판 모두 1분기를 바닥으로 완만한 개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3. 주가 촉매 요인:
    • 신규 고객사와 전장용 FC-BGA 공급 논의: 현재 40%대인 FC-BGA 가동률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1Q24 가동률이 40%대에서 1H25에는 70%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MLB 사업의 제품 포트폴리오 고도화: 2Q23 이후 부가가치가 낮은 MLB 라인을 정리하면서 가동률이 크게 낮아졌지만, 이제 AI 가속기 및 800G 스위치 등 성장성이 높은 산업 중심으로 제품 믹스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된 성과는 이르면 4Q24 중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대덕전자는 회복의 초입 단계에 있으며, 연말까지 점진적으로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3. 한올바이오파마 ( 34,9500원 - 5/28일 기준 )

한올바이오파마와 경쟁사인 Argenx의 최근 임상 전략과 성과를 분석하고, 한올바이오파마에 대한 긍정적인 투자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rgenx의 임상 전략:
    • Argenx는 Anti-FcRn 치료제 Vyvgart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TED(갑상선 눈병증) 적응증으로 임상 3상에 진입하였습니다.
    • Argenx는 TED 임상 2상을 생략하였으며, 이는 경쟁사 이뮤노반트가 IMVT-1401의 2상 결과를 바탕으로 IMVT-1402 임상 2상을 생략하고 3상에 진입한 전략을 따른 것입니다.
    • 이 전략을 통해 향후 anti-FcRn 치료제는 경쟁사의 임상 2상 결과를 바탕으로 자체 2상을 생략하고 3상에 진입하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TED 적응증 경쟁:
    • Argenx는 PFS 자가주사제로 TED 적응증 시장에 진입하면서 경쟁 심화가 예상됩니다.
    • 한올바이오파마의 IMVT-1402는 후발 주자로서 경쟁사가 이미 PoC(Proof of Concept)를 입증한 적응증에 대해 3상으로 바로 진입이 가능하여 더 높은 잠재력을 보유할 것으로 평가됩니다.
  3. J&J의 쇼그렌증후군 임상 데이터:
    • J&J는 anti-FcRn 니포칼리맙이 쇼그렌증후군 임상 2상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자세한 데이터는 2024년 6월 15일 EULAR2024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 쇼그렌증후군은 미국 내 약 33만 명의 환자가 있는 큰 시장으로, anti-CD40L Dazodalibep의 임상 2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시장 점유율을 추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한올바이오파마 투자 의견:
    • 한올바이오파마에 대해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하며, 목표주가를 6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2023년 12월 그레이브스병 임상 2상에서 훌륭한 결과를 입증하였으며, 향후 1~2년 내 다수의 임상 3상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종합하면, Argenx의 임상 전략을 통해 한올바이오파마는 경쟁사의 2상 결과를 활용하여 빠르게 임상 3상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이는 한올바이오파마의 높은 잠재력을 입증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또한, J&J의 임상 데이터 발표도 한올바이오파마의 시장 점유율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3종목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주식의 길을 멀다라고 느낍니다.

모두 열공해서 주린이를 탈출했으면, 좋겠습니다.

 

의견이나 댓글 남겨 주시면 더욱 공부해 보겠습니다.

E-mail : jjinujjan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