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이슈 사항
현재 주식 미국 시장은 엔비디아의 HBM 수요에 따른 공급 증가, 이로 인한 전력 소요 증가에 대한 전력 필요성 그리고 에너지 발생을 위한 탈탄소 친환경 태양에너지가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로 마찬가지로 해당 분위기를 이어 받아 SK하이닉스의 강세와 에너지 관련주식인 태양광, 풍력, 원자력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 싸이클의 상승기는 2년을 유지한다는 통계도 있으며, 앞으로 비메모리도 같이 분위기를 이어 간다면 반도체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태양광 한화솔루션, VR 기기 관련 뉴프랙스, 무선 충전 모듈 디케이티 3종목과 HBM 업항에 대하여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화솔루션 ( 5/27 - 32,850원)
목표주가 - 40,000원
중장기 사업 방향성
- 지속적 증설과 수직계열화, 차세대 셀 개발 등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임.
- 미국 태양광 시장 내 한화솔루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방향성에 의심의 여지가 없음.
단기적 과제
- 과잉 재고: 2022년 6월 이후 수입된 동남아시아 모듈로 인해 재고 부담
- 재고 소진: 2024년 연간 미국 수요와 비슷한 약 40GW의 재고를 소진해야 함.
- 예상 시기: 본격적인 재고 소진 및 가격 반등은 3분기 말에서 4분기 초 예상
업황 전환의 트리거
- 중국의 구조조정 논의:
- 2023년 5월 17일, 중국 태양광협회 주최 심포지엄에서 주요 업체들과 정부 관계자가 공급과잉 해결을 위한 방안을 논의함.
- 구조조정 논의: M&A, 원가 이하 판매 저지, 모니터링 강화 등
- 의미: 미국 내 재고 소진과 별개로, 태양광 업황의 방향성을 전환시킬 가능성
전망 및 결론
- 재고 부담: 여전히 큰 부담이지만, 양면형 모듈 수입 관세 면제 조치 폐지 및 동남아 수입산 모듈 관세 면제 유예 종료로 인해 공급 부담 완화 예상.
- 중국 구조조정: 업황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요약
한화솔루션은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기존의 셀 생산 및 판매를 넘어 다양한 전략적 사업 확장을 추진 중입니다. 금융회사 En Finn 설립, 개발 및 EPC 병행, ESCO 추진 등을 통해 밸류체인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사업 모델은 중장기적으로 매력적인 마진 증가를 기대할 수 있지만,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의 대중 태양광 정책 강화와 양면형 태양광 모듈 조항 삭제, 동남아 생산 태양광 패널의 관세 면세 종료 등은 한화솔루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악성 재고 문제로 인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한화솔루션의 미국 태양광 사업은 Total Energy Solution Provider로 변신하는 과정에 있으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뉴프랙스 ( 5/27 - 7,740원)
목표주가 - 11,500원
2Q24 실적 및 전망
1Q24 Review: 양호한 수익성 시현
- 1분기 실적:
- 매출액: 509억원 (QoQ -2.7%, YoY -4.8%)
- 영업이익: 48억원 (QoQ -8.3%, YoY +252.4%)
- 영업이익은 당사 추정치(55억원) 하회
- 주요 원인:
- 일회성 충당금 설정으로 인한 영업이익 부진
- 일회성 요인을 제거하면, 베트남 내 생산 증가로 전분기 대비 이익 증가
- S24 시리즈의 양호한 판매 흐름으로 높은 가동률 유지
2Q24 Preview: 비수기를 상쇄할 VR향 생산 물량 증가
- 2분기 예상 실적:
- 매출액: 478억원 (QoQ -6.1%, YoY +24.3%)
- 영업이익: 45억원 (QoQ -6.3%, YoY 흑전)
- 주요 요소:
- 스마트폰향 매출 감소로 인한 비수기
- 북미 고객사향 저가형 VR 신모델 공급이 비수기를 일정 부분 상쇄할 전망
- 고객사와 논의된 저가형 VR 생산 물량은 연말까지 약 1,000만 대 예상
- Meta VR Quest Gaming Showcase에서 신모델 공개 (6월 1일), 7월 출시 예상
XR 시장 전망 및 전략
- XR 시장 확대 기대:
- Vision Pro의 글로벌 출시, 삼성전자 및 구글의 XR 디바이스 신규 출시
- 북미 고객사의 저가형 VR 디바이스 출시, 초기 시장 확대 국면에서 하드웨어 업체에게 낙수효과 기대
- 과거 Quest2의 흥행 사례를 참고해 저가형 VR 디바이스의 흥행 가능성 높음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 현 주가 저평가: 높은 실적 개선세에도 불구하고 대주주 매각에 대한 과도한 우려로 저평가
- 성장세 지속 가능성: 패키지 부문의 가파른 성장과 모바일 앱 고도화로 중장기적인 성장 기대
- 레저업종 내 최선호주: 높은 성장세와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선호주로 제시
결론
2Q24는 비수기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북미 고객사의 저가형 VR 신모델 공급이 이를 일정 부분 상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XR 시장의 확대와 관련한 긍정적인 전망을 바탕으로, 현재 주가는 저평가 상태이며,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아 레저업종 내 최선호주로 제시됩니다.
3. 디케이티 ( 5/27 - 11,560원)
1. 2024년 실적 전망
디케이티는 2024년에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미 1분기 실적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1Q24 매출액: 1,158억원 (+70.1% QoQ, +71.9% YoY)
- 1Q24 영업이익: 77억원 (+142.3% QoQ, +197.7% YoY)
이러한 성장은 긍정적인 체질 개선을 보여주며, 향후 성장을 위한 견조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2. 주요 성장 요인
- BH EVS향 무선충전모듈 매출: 견조한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 예상
- 폴더블 매출 반영: 동사 점유율이 높은 분야
- 갤럭시 S25 조기 생산: 2~4분기 지속적인 호실적 기대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하여, 2024년 실적은 다음과 같이 전망됩니다:
- 연간 매출액: 4,148억원 (+48.0% YoY)
- 연간 영업이익: 262억원 (+78.6% YoY)
3. 다양한 신사업의 열매
디케이티는 2024년에 신사업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이루며, 실적 외 매력도를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 IT OLED 관련 매출:
- 4분기: 국내 및 북미 업체향 첫 매출 발생 예상
- 향후: 스마트폰 대비 제품군 확장을 통한 지속적인 매출 성장 기대
- ESS 파워모듈:
- 3분기: 기존 스마트폰 PCM 고객사와 동반 진행하여 첫 매출 인식 예상
- 향후: 북미 시장 진출 및 고객사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 기대
- 무선충전모듈 사업:
- 향후: 완성차 고객사향 추가 인증 및 수주 확대에 따른 추가 매출 성장 예상
4. 밸류에이션 및 투자 매력
디케이티의 현재 주가는 2024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PER 8.4배에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오히려 IT OLED 및 전장 매출 확대를 통한 추가적인 멀티플 리레이팅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디케이티는 2024년에 실적 성장과 사업체질 변화를 기반으로 기업가치 재평가가 기대되는 시점입니다. 다양한 신사업의 성과와 기존 사업의 견조한 성장세를 고려할 때, 디케이티는 투자 매력이 높은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산업 분석 - 반도체 비중확대 및 HBM과 Commodity의 상호작용
HBM 반도체 업종 전망
▶ 반도체 업계의 HBM과 Commodity DRAM의 상호작용은 메모리 시장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AI 수요 증가와 기술 전환으로 인해 HBM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이는 메모리 업계의 수익성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주가는 향후 상승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1. HBM과 Commodity의 상호작용
- HBM (High Bandwidth Memory): 인공지능(AI)과 관련된 수요가 증가하면서 HBM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HBM은 GPU와 같은 고성능 컴퓨팅 장치에 필수적인 메모리로, 성능과 가격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Commodity DRAM: 스마트폰, PC 등의 전통적인 수요가 더디게 회복되는 상황에서 HBM의 수요 증가는 메모리 업계 전반의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 AI 강세에 따른 영향
- AI 수요 증가: 북미 CSP(Cloud Service Provider)들의 자본 지출 증가와 TSMC의 연간 가이던스 유지 등을 통해 AI 수요가 일반 수요의 약세를 상쇄하고 있습니다.
- HBM 채용량 확대: H200, B100 등 2024년 출시 예정 GPU에서 HBM 채용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HBM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이는 메모리 업계의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3. 공급과 수요의 균형
- HBM 공급 부족: HBM의 공급 부족 상황과 공정 난이도 증가로 인한 수율 문제는 AI 수요 증가에 따라 Commodity DRAM의 생산 능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는 Commodity DRAM의 가격 반등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HBM 경쟁: HBM은 성능과 시장 적기 대응이 중요한 가운데, 향후 2~3년간 기술 전환(Tech transition)이 예정되어 있어 공급량이 급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4. 리스크와 기회
- HBM 초과 공급 리스크: HBM 업황 둔화는 Commodity DRAM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는 최대의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생산 능력 배분: 각 업체 간 HBM 생산 능력, 수율, 잠재적 증설 여력의 차이와 Commodity DRAM의 탄력적 레버리지 등을 감안할 때, DRAM 3사의 최적점은 상이할 것입니다. 이는 업계 전체의 생산 능력 배분의 균형점을 의미합니다.
5. 전망 및 투자 의견
- 장기 공급 계약: HBM과 Commodity DRAM의 상호작용과 장기 공급 계약을 기반으로 한 미래 이익 가시성 제고, 거시경제 기반의 랠리를 감안하면 이번 사이클은 길고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목표 주가 상향: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목표주가는 각각 105,000원, 280,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리뷰: AI 수요 상승 지속
2024년 상반기는 전반적인 수요 회복이 더딘 가운데, AI 수요의 급격한 상승으로 메모리 업계의 실적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요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상반기 메모리 업계는 AI 수요 상승에 힘입어 빠르게 실적을 회복하고 있으며, HBM과 NAND 시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AI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메모리 업계의 수익성은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특히, SK 하이닉스와 같은 선두주자는 HBM을 통한 수익성 제고로 더욱 주목받을 것입니다.
1. AI 수요 상승과 메모리 업계 실적
- AI 수요 상승: AI 관련 기술과 인프라의 발전으로 AI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메모리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HBM(High Bandwidth Memory)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HBM3e 8Hi로의 기술 전환: 1분기 동안 HBM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정체된 모습을 보였으나, 선단 중심의 수요 강세와 HBM 증설에 따른 Capa loss 효과로 DRAM 가격 반등이 지속되었습니다.
2. NAND 시장 동향
- NAND 가격 상승: NAND 시장에서도 셋트 수요 회복이 더디지만, AI 향 저전력 고용량 SSD 수요 급증과 감산 정책의 지속으로 예상을 상회하는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Solidigm과 삼성전자의 흑자전환: Solidigm은 서버용 QLC 기반 SSD의 강점을 바탕으로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삼성전자도 NAND 부문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3. 재고 관리와 수익성 극대화
- 재고 관리: 메모리 업계는 여전히 높은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만, 가격 반등을 통한 수익성 극대화를 추구하며 실수요 중심의 대응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수익성 제고: AI 수요 상승과 HBM3e 8Hi의 본격 반영 시작으로 2분기에도 AI 향 SSD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메모리 업계의 수익성 제고가 가속화될 것입니다.
4. 선두주자 SK 하이닉스의 역할
- SK 하이닉스의 HBM: SK 하이닉스는 HBM을 통한 수익성 제고 효과가 다시 부각되며, 업계 전반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2024년 하반기 전망: HBM3e 효과 본격화
2024년 하반기는 HBM3e 8Hi 시장의 본격화에 따라 메모리 업계의 수익성 증대와 업체 간 수익성 차별화가 전망됩니다. 주요 요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하반기에는 HBM3e의 본격화와 AI 수요 강세로 메모리 업계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SK 하이닉스를 비롯한 주요 메모리 업체들은 HBM과 Commodity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조적 증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유지되며, 비중 확대가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1. HBM3e 본격화와 수익성 차별화
- HBM3e의 영향: 2024년 하반기부터 HBM3e 8Hi의 본격적인 도입으로 메모리 업계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입니다. HBM 1위 사업자인 SK 하이닉스는 높은 생산 능력과 안정된 수율을 바탕으로 HBM 매출액과 수익성에서 선제적인 혜택을 누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업체 간 수익성 차별화: HBM 업황 호조와 공급 부족은 SK 하이닉스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기업 가치 상승을 견인할 것입니다. AI 수요 강세 속에서 고성능 HBM을 통한 경쟁과 신규 GPU 출시에 따라 2025년 HBM에 대한 생산 능력 및 가격 결정은 2024년 3분기부터 시작되며, 차년도 실적 가시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2. Gb당 가격 상승과 Blended ASP 상승
- 가격 상승 요인: HBM3e 8Hi로의 기술 전환에 따른 Gb당 가격 상승과 메모리 업체들의 HBM 내 믹스 제고로 Blended ASP가 상승할 것입니다. HBM3e 시장 진입과 수율 안정화 효과는 예상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추가 증설 결정: HBM 공급 부족은 2025년 물량을 대비한 추가 증설 결정으로 이어져 Commodity capa loss를 가속화하고, 이는 Commodity 가격 반등을 견인할 것입니다. Commodity 가격 반등은 HBM의 가치 역시 높일 것이며, 이는 메모리 업계의 HBM과 Commodity의 시너지로 이어질 것입니다.
3. 구조적 증익과 양적 성장 사이클
- 구조적 증익: HBM과 Commodity의 상호작용에 따른 구조적 증익은 메모리 업계의 차별화된 이익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AI 강세에 따른 HBM 업황 호조가 지속되는 국면에서 반도체에 대한 비중 확대 논리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 양적 성장 사이클: 후행할 거시경제 회복을 기반으로 한 양적 성장 사이클까지 고려하면, 반도체 산업은 과거보다 높고 긴 사이클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주식 3종목 + HBM에 대하여 공부해 보았습니다.
주식에 대하여 알아 가면서 참 어려운 영역이라고 많이 느낍니다. 시장이 상황에 따른 직관적인 반응과 예외적으로 해석되는 부분을 보면 많이 놀라는 부분이 많습니다. 조금 더 공부하다보면 더 넓은 인사이트를 가지리라 믿으며, 노력하겠습니다.
의견이나 댓글 남겨 주시면 더욱 공부해 보겠습니다.
E-mail : jjinujjang@naver.com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일기 ( 5/30 - 태웅 ) (0) | 2024.05.30 |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29 - 에코프로비엠, 대덕 전자, 한솔 바이오파마 ) (0) | 2024.05.29 |
주린이의 주식 일기 5/26 ( 통신, 장비주 ) (0) | 2024.05.26 |
선풍기 추천 ( 2024년 무더운 여름이 다가온다 ~ ) (0) | 2024.05.25 |
주린이의 주식일기 ( 5/25 - LS ELECTRONIC, 유니셈 ) (0) | 202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