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트럼프 + 바이든 공통 분모를 가진 헬스케어 산업 전망 및 트럼프 수혜주 HD 현대 인프라코어 주가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헬스 케어 산업 전망
주요 요점 및 시사점
- 헬스케어 정책 변화와 영향:
- 트럼프의 Project 2025와 Agenda 47:
- 약가 인하: 약가 인하와 필수 의약품 생산 자국화를 강조.
- 보험 개혁: Medicare, Medicaid, 오바마케어 등의 보험 제도 개혁을 포함.
- FDA 규제 완화: 필수 의약품 부족 문제 해결과 광고 규제 강화 등이 주요 내용.
- 향후 방향성: 구체적인 정책보다는 규제 완화, 자국 우선주의를 강조
- 바이든의 Inflation Reduction Act (IRA):
- 처방약 가격 개혁: Medicare 약가 협상 프로그램 도입, 약가 인하를 목표로 함.
- ACA 보험료 보조금 혜택 연장: 2025년 말까지 혜택 연장.
- 적용 품목과 제외 조건: FDA 승인 후 9년 미만의 케미컬, 13년 미만의 바이오 의약품 제외
- 트럼프의 Project 2025와 Agenda 47:
- 바이오 및 제약 산업에의 영향:
- 바이오시밀러와 CMO: 트럼프의 약가 인하 정책과 제네릭/바이오시밀러 사용 촉진으로 바이오시밀러와 위탁생산(CMO) 업체들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음.
- 제네릭 의약품 제조 장려: FDA와 HHS는 제네릭 의약품 제조를 장려하여 약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이는 관련 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투자 전략 및 주식시장 시사점:
- 헬스케어 섹터 투자:
- Overweight 추천: 헬스케어 섹터는 트럼프와 바이든 정책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임.
- 규제 완화 수혜: 규제 완화와 경쟁 강화로 인해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제조업체들이 주요 수혜자로 예상됨.
-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
- 정책 변동성: 정권에 따라 정책이 크게 변동될 수 있으므로, 투자 전략 수립 시 정책 변화에 대한 주의가 필요.
- 장기적 관점 유지: 정책 변화에 따른 단기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헬스케어 섹터는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큼.
결론
트럼프와 바이든의 헬스케어 정책은 주식 시장에서 헬스케어 섹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약가 인하, 제네릭 의약품 제조 장려, 규제 완화 등의 정책이 제약 및 바이오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헬스케어 섹터에 대한 투자는 매력적인 기회로 보입니다. 그러나 정책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주식 전문가로서 헬스케어 섹터에 대한 투자를 권장하되, 정책 변화에 주의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HD 현대인프라코어 ( 8,830원 - 7/24일 기준 )
목표주가 : 12,000원
2Q24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HDI는 2분기 매출액 1조 1,082억원(YoY -15.7%), 영업이익 815억원(-49.7%, OPM 7.4%)을 기록했습니다. 당사 추정치 및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각각 -4.5%, -9.3%, 영업이익은 -12.9%, -22.7% 하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환효과(+89억원)에도 불구하고 판매 감소(-789억원), 물류비 증가(-50억원) 등으로 인해 YoY 805억원 감소했습니다. 프로모션 비용 증가로 판가 인상 효과는 +27억원에 그쳤습니다.
건기사업: 바닥 다지기
건기 매출은 7,863억원으로 YoY -22.4% 감소했으며, OPM은 3.9%로 YoY -7.5%p 하락했습니다.
- 북미/유럽: 프로젝트 비용 상승과 전쟁 장기화로 인한 예산 감축으로 YoY -31.8% 감소했습니다.
- 신흥/한국: 고금리 및 선복 확보 차질로 YoY -18.6% 감소했으며, 한국은 2분기 연속 회복했습니다.
- 중국: 내수 시장 회복에도 불구하고 소형 장비 중심의 성장세로 YoY +1.5% 증가에 그쳤습니다.
하반기에는 리테일 프로모션 확대 및 딜러 재고 조정을 바탕으로 홀세일 판매의 YoY 회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선진 시장: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컴팩 전문 딜러 및 신규 CTL의 성과를 기대합니다.
- 신흥 시장: 인도네시아 광산 회복, 채널 강화, 카자흐스탄/우즈벡 딜러 교체 완료 후 판매 개시 등을 통한 회복을 기대합니다.
엔진사업: 외로운 선전
엔진 매출은 3,219억원으로 YoY +7.1% 증가했으며, OPM은 15.8%로 YoY +0.4%p 상승했습니다. 산업용, 방산용 등 전 부문 수요가 견조했습니다. 특히 발전기용 엔진은 북미 데이터센터, 마이크로그리드 등 신규 전력 수요가 더해지는 모습입니다. 향후 유럽 배기 규제 강화에 따른 선박 엔진 수요 및 HCE와의 시너지(엔진 내재화) 확대도 기대됩니다.
최근 유럽 재건 기대감(HDI MS 20% 추정) 등으로 주가 변동성이 확대됐습니다. 여전히 시기는 불확실하나, 종전 시 MS가 상대적으로 높은 우크라이나 근방 유럽 지역의 판매량도 함께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 일기 ( 8/1 - 에스티아이 ) (0) | 2024.08.01 |
---|---|
주린이의 주식일기 ( 7/24 - KB 금융, 아이엠비디엑스 ) (0) | 2024.07.25 |
주린이의 주식일기 ( 슈프리마와 트럼프 관련주 에스엘 7/22) (0) | 2024.07.23 |
주린이의 주식일기 ( 7/20 - 디와이파워, 와이엠텍 ) (0) | 2024.07.21 |
주린이의 주식일기 ( LS 일렉트릭, 에스와이 )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