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이슈
미국 증시는 안 좋았으며, 대선 tv 토론에서 트럼프의 압승으로 친환경주가 급락을 하였습니다.
미국 연준은 아직 금리 인하의 분위기는 형성되지 않고 있으며, 트럼프의 강세로 갈 경우 친환경주는 앞으로 약세가 예상이되며, 대신 의약쪽은 강세가 예상되어 오늘은 바이오니아에 대하여 공부해 봅시다.
바이오니아 ( 30,050원 - 7/2일 기준 )
1. 코스메르나(CosmeRNA) 국내 출시 지연
국내 출시가 지연됨에 따라,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수입하여 9월부터 B2B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음.
2. 매출 목표 조정
출시 지연으로 인해 2024년 목표 코스메르나 매출액을 200억원으로 하향 조정(연초 목표 300억원).
3. 판매 전략
B2C 판매보다는 B2B 판매를 통해 중동 지역 판매를 확대하고 있음.
4. 비엔날씬(BienNalsin) 고성장세 지속
비엔날씬은 지속적인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하반기부터 면세점 판매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됨. 글로벌 출시 준비 중.
5.써나젠(Sunagen) 미국 법인의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 1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확인, 4분기에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
6. 2024년 목표 실적 매출액
3,200~3,300억원(+20% yoy). 영업 이익 - 300억원 내외(2023년 영업이익 약 8억원 달성). 애널리스트 코멘트 주가 부진: 2022년부터 2년 넘게 코스메르나의 국내 출시가 지연되면서 바이오니아 주가는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음.
7. 실적 고성장 전망
국내 잠재 수요가 매우 높아 판매가 본격화될 2025년에는 실적 고성장이 가능할 전망.
8. 중동 시장 잠재력
최근 진출한 중동 시장 또한 잠재 수요가 높아 수출 추이를 기대해 볼 만함. 요약 바이오니아는 코스메르나의 국내 출시 지연과 함께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수입하여 9월부터 B2B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며, 2024년 목표 매출액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비엔날씬은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써나젠의 신약 파이프라인은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바이오니아는 여러 사업 부문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자회사와 함께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바이오니아의 수익 창출원과 향후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사업 및 수익 창출원
바이오니아 본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기반 시약 및 분자진단키트 판매 및 연구개발 기능성 탈모완화 화장품 코스메르나(CosmeRNA): 미국을 제외한 판매를 담당 연결대상 자회사 에이스바이옴(AceBiome) 지분율: 81% 사업 내용: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판매 주요 제품: 비에날씬(BienNalsin) 써나젠(Sunagen) 지분율: 70% 소재지: 미국 사업 내용: RNA 신약 개발 및 코스메르나의 미국 판매 담당 현재 수익 창출원 비에날씬의 국내 판매: 자회사 에이스바이옴의 비에날씬 브랜드 제품이 현재 바이오니아의 주요 수익원임.
2024년 목표 및 전망 비에날씬(BienNalsin) 해외 판매: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판매를 시작할 계획 면세점 판매: 하반기부터 면세점 판매가 본격화될 예정 코스메르나(CosmeRNA) 시장 출시: 2024년 하반기부터 국내외 시장 출시를 통해 판매 확대를 목표로 함 미국 판매: 자회사 써나젠을 통해 미국에서 판매 진행 예정 성장 목표 이익 성장: 비에날씬의 해외 판매와 코스메르나의 시장 출시를 통해 2024년 하반기부터 이익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 바이오니아는 비에날씬의 국내외 판매 확대와 코스메르나의 시장 출시를 통해 2024년 이후 실적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제품군에서 수익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사업: 비에날씬® 개요 **비에날씬(BienNalsin)**은 바이오니아의 연결 자회사인 에이스바이옴(AceBiome)을 통해 판매되는 체중 감량을 도와주는 유산균 제품입니다. 비에날씬® 주요 성과 출시와 성장: 2018년 첫 출시: 첫 해 판매액은 22억 원. 출시 5년 차(2023년): 매출액 2,345억 원, 영업이익 350억 원 달성. 가격 및 포지셔닝: 가격: 한달 가격 7~8만 원 수준의 고가 제품. 포지셔닝: 홈쇼핑 판매를 통해 중장년 여성들에게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는 프리미엄 유산균으로 자리잡음. 2024년 목표 및 전략 매출 및 영업이익 목표: 매출액: 2,800억 원 상회 목표. 영업이익: 450억 원 달성 목표. 판매 전략: 라인업 다각화: 다양한 제품군 추가로 시장 점유율 확대. 면세점 입점: 하반기부터 면세점 판매 본격화. 해외 시장 진출: 2025년부터 해외 판매 시작 예정, 글로벌 시장에서 고성장세 지속 목표. 전망 에이스바이옴의 비에날씬®은 출시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고가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다양한 판매 채널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의 고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면세점 입점과 해외 판매는 향후 성장을 견인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코스메르나(CosmeRNA) 사업 개요 및 전략 **코스메르나(CosmeRNA)**는 바이오니아의 siRNA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기능성 탈모 증상 완화 화장품입니다. 이 제품은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여 탈모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출시 현황 및 도전 과제 출시 준비: 시작: 2022년부터 출시 준비. 국내 출시 지연: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2년 넘게 출시가 지연되고 있음. 국제 시장: 안전성 테스트: 2022~2023년 유럽에서 안전성 테스트를 통과. B2C 시장 공략: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프랑스, 싱가포르 등 글로벌 온라인 B2C 시장 공략. 그러나 인지도가 낮아 매출액은 미미함. 2024년 전략 및 목표 B2B 시장 공략: 지역 확장: 2024년 상반기부터 중동 및 동유럽 지역 진출. 쿠웨이트 계약: 2024년 3월, 쿠웨이트의 의료서비스 업체 ‘마이스킨헬스케어’와 독점 공급 계약 체결. 6월부터 초도 물량 선적 시작, 초기 물량은 크지 않아 의미 있는 매출 기대는 이르다고 판단. 추가 계약 필요: 추가적인 공급 계약 체결 등 향후 추이 확인 필요. 미국 시장: 미국 생산 제품 수입: 2024년 하반기부터 미국에서 생산된 코스메르나를 수입하여 병원 등과 연계하여 B2B 시장 공략 예정. 수입 본격화: 2024년 4분기경부터 수입이 본격화될 예정.
목표 매출액 2024년 목표: 약 200억 원. 초기 목표: 상반기 국내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목표 매출액을 약 300억 원으로 제시. 조정 이유: 출시가 하반기로 지연되면서 목표 매출액을 하향 조정. 프로바이오틱스 사업 성공 사례 적용 바이오니아는 프로바이오틱스 사업(비에날씬®)에서의 성공 사례를 코스메르나 사업에 적용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판매 채널 다각화: B2B 시장 공략을 통해 다양한 판매 채널 확보. 글로벌 시장 진출: 초기에는 글로벌 B2C 시장을 공략하였으나, 이제는 B2B 시장으로 전략 변경. 파트너십: 현지 업체와의 독점 공급 계약 체결 등을 통해 시장 진출 가속화. 바이오니아는 코스메르나의 국내외 출시를 통해 탈모 증상 완화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중동, 동유럽, 미국 시장을 통해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분자진단 사업 바이오니아의 분자진단 사업은 현재 시약 및 키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원료 물질 등의 생산을 통해 연 매출액 약 280억 원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정비용을 충당하기에는 매출액이 충분하지 않아 2023년에 연간 영업적자 29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활동 및 투자 코로나 진단키트 수익 투자: 투자액: 코로나 진단키트 판매로 벌어들인 수익 중 일부인 700억 원을 투자. 바이오니아 글로벌 센터: 2021년 11월 완공. 분자진단 장비 및 키트 생산 공장 설립. 대량 생산 가능 제품: 결핵 및 HIV-1 진단 장비 및 키트: 대량 생산 가능. 국제기구 FIND: 저개발 국가에 공급하기 위해 4개 국가에서 동시 임상 진행 중. 국제기구 납품 기준에 맞추기 위한 생산 프로세스 개선 작업 지속. RNAi 치료제 신약개발 사업 RNAi 치료제 신약개발 사업은 미국 자회사 SiRNAgen Therapeutics(지분율 70%)를 통해 진행 중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치료제 플랫폼: 플랫폼: SAMiRNATM. 치료제 후보물질: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SRN-001. 임상 시험: 임상 1상: 호주에서 시작하여 최근 결과 확인. 하반기 계획: 임상 결과 및 향후 진행 사항에 대해 공개할 예정. 결론 및 전략 바이오니아는 각 사업 부문에서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며 성장과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분자진단 사업: 생산 프로세스 개선: 국제기구의 납품 기준에 맞춘 생산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매출 확대와 수익 개선 목표. 저개발 국가 공급: 결핵 및 HIV-1 진단 장비 및 키트를 저개발 국가에 공급하여 국제 시장에서 입지 강화. RNAi 치료제 신약개발 사업: 임상 결과 발표: 하반기에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하여 투자자 및 시장의 관심 유도. 향후 계획: 추가 임상 시험 및 개발 진행 상황 공개를 통해 신약 개발 사업의 진행 상황 투명하게 공유. 바이오니아는 프로바이오틱스 사업(비에날씬®)에서의 성공 사례를 코스메르나 사업에 적용하고, 분자진단 및 RNAi 치료제 개발을 통해 다양한 시장에서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니아 실적 및 전망 과거 실적 2020-2021년: COVID-19 팬데믹 시기에 코로나 진단 키트 생산 및 판매로 큰 폭의 매출 및 이익 성장. 2020년 이후: 자회사 에이스바이옴의 비엔날씬® 판매 호조로 프로바이오틱스 사업부 매출은 지속적인 고성장. 2022년 1분기 이후: 진단 키트 판매 감소로 인해 실적 큰 폭 감소. 2023년: 영업이익이 10억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부진한 실적 기록. 이는 분자진단 사업부와 코스메르나 사업의 부진에 기인함. 2024년 전망 에이스바이옴 사업부 예상 매출액: 약 2,800억 원 이상. 예상 영업이익: 약 450억 원(영업이익률 15% 유지 예상). 코스메르나 사업 매출액 전망: 2024년 하반기에 약 200억 원 발생 예상(출시 일정 지연으로 연초 예상 매출액 300억 원에서 하향 조정됨). 영업적자 감소 기대: 코스메르나 매출이 예정대로 발생하면 본사 영업적자는 100억 원 이하로 감소하고, 연결 영업이익은 300억 원 이상 기대. 코스메르나 판매 지연 시 시나리오 매출 지연: 코스메르나 판매가 2025년으로 지연될 경우. 영업이익 전망: 영업이익은 150억 원대에 그칠 것. 종합 결론 바이오니아는 2020~2021년 코로나 진단 키트 판매로 큰 성장을 이뤘지만, 이후 진단 키트 판매 감소로 실적이 부진해졌습니다. 2023년 영업이익이 10억 원 미만으로 떨어졌지만, 2024년에는 에이스바이옴의 비엔날씬® 판매 호조와 코스메르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코스메르나 판매가 예정대로 진행되면 본사 영업적자는 100억 원 이하로 줄고, 연결 영업이익은 300억 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스메르나 판매가 2025년으로 지연되면 영업이익은 150억 원대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오니아는 에이스바이옴의 성장을 바탕으로 실적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코스메르나의 성공적인 출시가 향후 실적 개선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일기 ( 인텔리안테크 7/5 ) (0) | 2024.07.05 |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삼성바이오로직스 7/2 ) (0) | 2024.07.03 |
주린이의 주식일기 ( 6/27 아이텍 ) (0) | 2024.06.28 |
주린이의 주식일기 ( 고려아연 (1) | 2024.06.26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2차 전지 섹터 ) (0) | 202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