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사항
미국 시장은 FOMC의 영향으로 증시가 좋지 않았고,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아 좋지 않은 하루였습니다.
최근 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되고 있으나, 주가는 미리 선반영 후 주식 가격은 떨어지는 경우들이 발생합니다.
모두 주식의 기본 원칙인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라는 문구가 떠오르는 하루였습니다.
펌텍코리아 ( 26,450원 - 5/2일 기준 )
펌텍코리아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762억원(YoY+18%), 영업이익 95억 원(YoY+27%, 영업이익률 12%)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분기에는 국내 대형사, 중소형사, 그리고 글로벌 고객사로부터의 주문이 확대되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국내 중소형/대형사와 수출에서 두 자릿수 성장이 예상되며, 스틱, 콤팩트, 그리고 펌프 및 용기 등 각 제품 카테고리에서도 성장이 기대됩니다.
이어서, 2024년 실적에 대한 전망은 연결 매출 3.2천억원(YoY+13%), 영업이익 433억 원(YoY+23%, 영업이익률 13%)입니다.
이번에도 펌텍코리아는 펌프사업부와 부국티엔씨의 성장을 가정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산업의 수요 확대와 함께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고객사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제품군 개발이 고객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의 2024년 가이던스는 연결 매출 10% 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해외 중심의 외형 확대를 포함한 것입니다.
펌텍코리아의 현재 시가총액은 3.3천억원으로 P/E 비율이 8.7배에 불과합니다. 이는 상당히 낮은 평가로 보여, 투자자들에게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미주/일본/동남아 등으로의 수출 확대와 중국 수요 회복, 그리고 방한 관광객 증가 등에 힘입어 올해도 견고한 흐름이 기대되며, 이에 따라 펌텍코리아의 수주 동향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HL 만도 ( 39,500원 - 5/2일 기준 )
목표주가 : 50,000원
1Q24 실적 발표 이후, 만도의 주가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실적이 호조를 보였고, 특히 중국과 인도 시장에서의 수혜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외국인 및 기관의 순매수로 주가가 21% 상승했는데, 이는 실적 가시성의 확대와 함께 2024년의 운영이익이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투자자들의 믿음을 이끌어 냈습니다. 만도는 향후 중국과 인도 시장에서의 성장을 예상하며,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Q24의 매출은 전년대비 5% 증가한 2.1조 원이며, 운영이익은 8% 상승한 756억 원입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며 호조를 보인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특히, 북미에서의 BEV(전기차) 선도업체와 국내 매출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현지 로컬 OEM의 매출 증가로 인해 영향이 상쇄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Q-P 개선과 함께 마진에 있어 우호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4년에는 매출이 8.6조 원으로 전년대비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운영이익은 26% 상승하여 3,512억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이러한 예상은 1Q24의 호실적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특히 만도의 주요 제품군이 전장화되는 추세에 따라 ICE(내연기관차), HEV(하이브리드차),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대부분의 차종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BEV 수요의 둔화와 북미 T사의 물량 우려를 일부 상쇄할 것으로 보입니다. HMG HECU ( 전자제어유압장치) 리콜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정해진 바가 없지만,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해성디에스 ( 51,000원 - 5/2일 기준 )
목표주가 : 60,000원
해성디에스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올해의 영업이익이 1,107억 원으로 소폭 개선될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난해의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새로운 목표주가는 도출된 11.2배의 예상 EPS를 기반으로 계산된 것이며, 현재 예상 BPS에 기초하여 5년 간의 평균 P/B 배수인 1.7배를 적용하여 산출되었습니다.
실적 관련하여, 4Q23의 실적이 전분기 실적 및 시장 예상치에 비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동차용 및 IT용 리드프레임 부문에서의 재고 정리와 DDR5 제품 생산 차질로 인한 주문 축소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자동차용 리드프레임 부문에서는 IDM 고객향 매출이 증가하는 반면 OSAT 고객향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1Q24의 실적은 전분기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용 리드프레임 및 DDR4용 Substrate 부문에서는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자동차용 리드프레임 부문과 Substrate 부문의 개선은 2H24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고객들의 주문 재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반도체 산업 협회의 전망에 따르면, 자동차 전용 반도체 시장이 2 H23 이후 재고 정리 기간에 진입하면서 2H24부터는 주문 재개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Substrate 부문에서도 마찬가지로, DDR4 Substrate 주문의 증가가 더 빠른 상황이지만, DDR5 Substrate 주문의 증가도 예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Q24에는 실적의 큰 개선이 기대됩니다.
지금까지 3종목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가장 큰 변화는 중국 시장의 변화로 보입니다.
중국 시장의 변화를 주시하면서 투자를 이어 가면 좋겠습니다.
의견이나 댓글 남겨 주시면 더욱 공부해 보겠습니다.
E-mail : jjinujjang@naver.com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 일기 5/8 (비에이치) (0) | 2024.05.08 |
---|---|
주린이의 주식 일기 5/3 (0) | 2024.05.04 |
주린이의 주식 일기 5/1 (0) | 2024.05.01 |
주린이의 주식일기 ( 4/30 ) (1) | 2024.05.01 |
주린이의 주식일기 4/29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