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추후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최근 음식류가 K-FOOD 열기로 뜨거운데요. 관련 기후 현상인 라니냐 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있어 관심과 공부가 필요해 보입니다. 추가로 중국 전기차 관세로 인한 2차 전지의 미국 중국 유럽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차 중국 자동차 소비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소년(엘니뇨) 가고 소녀(라니냐) 온다
곡물 가격 변동성 심화 국면, 해외 모멘텀으로 선별 접근 최근 기후 변화에 따라 곡물 가격 변동성도 심화 국면. 지난해 발생했던 엘 니뇨가 소멸되고 올해 하반기 라니냐 발생 가능성 점증되고 있습니다.
라니냐는 유가, 곡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가격 전가가 용이한 해외 비중 높은 기업 선호 심해지는 기후 위기, 벌써 엘니뇨 가고 라니냐 엘니뇨는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대비 0.5℃ 높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 반대로 0.5℃ 낮은 경우에는 라니냐로 정의. 2020년부터 2 년 동안은 라니냐 발생, 지난해에는 엘니뇨 급부상. 이로 인해 지난해 하반 기부터 원당, 커피, 코코아 등 Soft Commodity 가격 급등 이러한 엘니뇨가 소멸되고 올해 하반기 라니냐 발생 가능성 가능성 점증. 엘니뇨는 인도와 중국, 동남아의 폭염, 호주와 남미의 가뭄 유발. 라니냐는 동남아와 호주의 홍수, 북미의 강추위, 남미의 가뭄 촉발 라니냐 발생은 곡물 가격 상승 요인 라니냐는 북반구의 강추위를 유발해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바이오 에탄올 수요 자극. 또한 주요 작황지의 곡물 작황 부진을 야기하는 등 곡물 가격 상승 불가피. 과거 사례를 참고 시 곡물 가격은 엘니뇨 시기보다 라니냐 시기에 상승 흐름. 엘니뇨 시기 주요 곡물의 평균 상승률은 옥수수 +17.2%, 대두 +16.5%, 소맥 +15.7%, 원당 +28.8%, 커피 +24.5%, 코코아 +36%였고, 라니냐 시기에는 옥수수 +34.5%, 대두 +22.4%, 소맥 +27.5%, 원당 +23.5%, 커피 +22.3%, 코코아 +12.7%를 기록 이러한 기후 위기 속 세계 식량 가격은 세 달 연속 상승세. 1월 117.7에서 2월 117.4로 하락한 세계 식량 가격지수는 3월 119, 4월 119.3, 5월 120.4 로 반등. 상승을 견인한 품목은 대부분 곡물(곡물 가격지수 +6.3% MoM) 인데, 특히 소맥 가격이 크게 올랐음. 북미 작황은 우수하나, 러시아 등 주 요 수출국의 작황 우려 때문 해외 모멘텀 보유한 기업으로 선별 접근 현재의 기후 변화를 고려하면 곡물 가격은 올해 연말~내년 상반기 본격적 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상적으로 곡물의 투입 시기는 매입 시기 대비 약 6개월 정도의 lagging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음식료 기업들의 원가 부담은 2H25부터 가중될 것. 곡물 가격 상승은 음식료 기업들에게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작용하나, 단기적으로는 원가 부담에 따른 매출총이익률 훼손 불가피. 국내보다는 가격 전가가 용이한 해외 사업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으로 선별 접근 필요. CJ제일제당과 삼양식품에 대한 관심 유효합니다.
2024년 5월 중국 자동차 판매 현황
전체 판매 동향
- 5월 승용차 소매판매는 171.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으나 전월 대비 11.5% 증가.
- 내연기관차(ICE) 판매는 22.0% 감소, 신에너지차(NEV) 판매는 38.4% 증가.
- NEV 침투율은 47.0%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상승.
- 연초 이후 누적 판매량은 807.3만 대로 5.7% 증가(NEV 34.3% 증가, ICE 7.6% 감소).
가격 전쟁과 소비자 동향
- 가격 전쟁으로 일부 인기 모델은 가격이 20% 가까이 하락.
- NEV의 지속적인 가격 인하로 인해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 부진이 지속.
브랜드별 판매 현황
- 중국 브랜드 소매 판매는 98만 대로 점유율 57.6%를 기록하며 지속 확대.
- 합작 브랜드 소매 판매는 49만 대로, 독일 브랜드 18.6%, 일본 브랜드 14.8% 기록.
- 고급차 판매는 24만 대로 3% 감소.
신에너지차(NEV) 판매 동향
- 5월 NEV 소매판매는 38.4% 증가한 80.4만 대(BEV 27.2% 증가한 49.5만 대, PHEV 60.9% 증가한 30.9만 대).
- NEV 침투율은 47.0%로, 전년 동월 대비 13.7%p 상승.
- 5월 승용차 도매판매 2만 대 돌파 모델은 15개로, 주요 모델로는 BYD Song, BYD Qin, Seagull, BYD Destroyer 05, Model Y, Model 3 등이 있음.
- 자동차 노후 보조금 시행으로 인해 NEV 판매 호조 지속.
수출 현황
- 승용차 수출(완성차 및 CKD 포함)은 37.8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5.2% 증가, 전월 대비 9.4% 감소.
- 5월까지 누적 수출량은 187만 대로 34% 증가.
- NEV 수출은 94,000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 전월 대비 18.3% 감소.
- NEV 수출 중 BEV가 78%를 차지.
- 제조업체 기준으로 BYD 37,499 대, Tesla China 17,358 대, SAIC Motor 6,487 대 등 기록.
- NEV 수출 중 Tesla 제외한 중국 로컬 기업 수출량은 7.7만 대로 34.9% 증가.
- 중국 승용차 수출 및 중국 로컬기업들의 NEV 수출이 브라질, 벨기에, 태국, 영국, 필리핀 등을 중심으로 지속 증가.
종합 평가
- NEV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BEV와 PHEV의 판매가 크게 증가.
- 내연기관차의 판매는 가격 인하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부진.
- 중국 브랜드와 NEV의 강세가 두드러지며, 글로벌 수출에서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지금까지 라니냐와 전기차 중국 소비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당분간 음식류에 대한 관심을 어어가야 할 것이며, 중국 전기차 소비는 증가하나 앞으로 관셀로 인한 소비 둔화가 예상되니 2차 전지 부문은 조심스런 투자를 이어 가야 겠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 일기 ( ESG 트렌드 ) (0) | 2024.06.19 |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6/17 - 빙그레, 에코프로비엠 ) (0) | 2024.06.18 |
주린이의 주식일기 ( 6/15 - 화장품, 2차 전지 산업 ) (2) | 2024.06.15 |
주린이의 주식 일기 ( 6/13 - 셀트리온 ) (1) | 2024.06.13 |
주린이의 주식일기 ( 브이엠, 쎄트렉아이 )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