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주린이의 주식 일기 ( 8/30-삼성 SDI, HK 이노엔 )

찌누짱 2024. 8. 30. 01:11

삼성SDI

2024년 실적 전망: 예상보다 깊은 골

 2024년 삼성SDI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9조 4,028억 원과 1조 551억 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 대비 상당한 감소입니다. 매출 감소율은 약 14.6%, 영업이익 감소율은 약 36.9%로 추정됩니다. 특히 2024년 3분기 영업이익은 1,474억 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0%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전기차 배터리 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 그리고 재고 조정이 꼽힙니다.

삼성SDI의 전기차 배터리 부문은 2023년 4분기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24년에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전기차(EV) 배터리의 경우 2024년 3분기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1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평균 판매 단가(ASP)는 12%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과 맞물려 삼성SDI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중장기 성장 전략: 각형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기술 주목

 삼성SDI는 중장기적으로 각형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중심으로 한 성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전기차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 우위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향후 시장에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삼성SDI는 또한 보수적인 수주와 증설 전략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전략이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현재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시장의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의 분석

삼성SDI의 주가는 2024년 기준 예상 주가수익비율(PER) 18.3배, 주가순자산비율(PBR) 1.1배로, 이는 동종업계 평균 대비 저평가된 수준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며, 이로 인해 투자 매력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입니다. 목표주가는 48만 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45.2%의 상승 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차 및 ESS 시장의 확대에 따라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시장의 불확실성과 수익성 저하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단기적 리스크와 중장기적 성장 잠재력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결론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보수적인 재무 전략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적인 실적 부진과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삼성SDI의 주가 흐름을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HK이노엔

1. 주요 실적 지표 및 분석

 2023년 HK이노엔의 매출액은 8,289억 원, 영업이익은 65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다소 감소한 수치였으나, 2024년에는 매출액이 9,253억 원으로 11.6% 성장하고, 영업이익도 47.5% 증가한 971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성장의 주요 요인은 **케이캡(K-CAB)**의 지속적인 매출 상승입니다. 케이캡은 P-CAB 기전의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로, 2024년에도 44.5%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2. 케이캡의 성장 잠재력

 케이캡은 HK이노엔이 자체 개발한 국내 30호 신약으로, 국내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PPI 제제의 한계를 극복한 3세대 약물로서, 약효 발현 시간이 빠르고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복용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4년 케이캡의 매출은 1,727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의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3. 미국 및 중국 시장에서의 확장

  HK이노엔은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도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는 2022년 Luoxin社를 통해 케이캡이 출시되었고, 2023년부터 본격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2024년에는 70억 원의 로열티 수익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비미란성 식도염과 미란성 식도염을 대상으로 임상 3상이 진행 중입니다. 비미란성 식도염의 임상 결과는 하반기에 발표될 예정이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경우 2025년 미국 허가 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 시장에서도 R&D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기술수출이 기대됩니다.

 

4. 수익성 개선 및 주가 전망

 HK이노엔의 2024년은 수익성 개선이 크게 이루어질 해로 전망됩니다. 중국에서의 케이캡 매출 성장과 국내에서의 판매 수수료 인하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미국 및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R&D 결과에 따라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영업이익률(OPM)은 2023년 8.0%에서 2024년 10.5%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EBITDA도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HK이노엔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HK이노엔은 2024년을 기점으로 수익성 개선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특히 케이캡의 성공적인 성장이 회사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며,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기대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HK이노엔은 매력적인 투자 기회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