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주린이의 주식 일기 ( 10/3 - 리가켐바이오 )

찌누짱 2024. 10. 3. 00:58

리가켐바이오

1. 주요 핵심 내용 신약의 활약

  • LCB84 Trop-2 ADC
    • Trop-2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며,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약물 복합체(ADC)는 암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가켐바이오의 β-glucuronidase 기반 링커는 혈중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이며, 종양 세포 내에서 빠르게 페이로드를 방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기존의 경쟁 제품인 Dato-Dxd(AZ)와 Trodelvy(Gilead)의 임상에서 통계적 유의성 확보에 실패한 상황에서 LCB84의 혈중 안정성과 빠른 페이로드 방출 특성은 경쟁 우위를 점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후속 치료 전략
    • LCB84는 MMAE ADC로, Top1i ADC 계열의 후속 치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제품인 Enhertu와 같은 HER2 타겟 치료제들이 Top1i를 사용하는 것과 차별화되는 부분입니다. 후속 치료에서 LCB84의 기전 차이로 인해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재무 및 밸류에이션

  • 리가켐바이오는 2024년 예상 매출액이 1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025년에는 198억 원의 매출을 예상하며, 흑자로 전환될 전망입니다.
  • 2024년부터 매출 증가와 함께 영업이익도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적자 상태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플랫폼 기술 이전 계약을 통해 실적 개선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리가켐바이오의 파이프라인 및 기술이전 계약 가치를 반영되어야 합니다.

3. 주요 리스크

  • LCB84의 임상 성공 여부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임상 결과가 부정적일 경우 목표 주가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경쟁 제품인 Enhertu, Trodelvy 등의 임상 진행 상황과 후속 치료제 출시에 따라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으며, 이는 리가켐바이오의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리가켐바이오, ADC 플랫폼으로 암 치료제 시장 선도할까?

 최근 바이오 업계에서 주목받는 리가켐바이오(141080)가 암 치료제 개발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리가켐바이오는 항체-약물 복합체(ADC)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항암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특히 Trop-2를 타겟으로 하는 LCB84의 임상 결과가 업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리가켐바이오의 Trop-2 ADC는 기존 항암제와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rop-2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표적 항원으로, 이를 타겟으로 하는 항암제는 암세포를 정확하게 공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 나온 제품들은 임상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해 그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AZ의 Dato-Dxd와 Gilead의 Trodelvy가 최근 NSCLC 임상에서 Docetaxel 대비 효과가 낮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반면, 리가켐바이오의 LCB84는 혈중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종양 세포 내에서 빠르게 페이로드를 방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경쟁 제품들이 보여주지 못한 차별화된 성과로, 암세포에 대한 빠르고 강력한 공격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특성은 경쟁 제품들에 비해 더 우수한 치료 성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또한 리가켐바이오의 후속 치료 전략은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력을 갖습니다. LCB84는 MMAE 기반 ADC로, Top1i를 사용하는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Enhertu와 같은 HER2 타겟 치료제의 후속 치료제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LCB84가 더 넓은 치료 시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재무적인 측면에서도 리가켐바이오는 향후 성장이 기대됩니다. 2024년 매출은 128억 원, 2025년에는 198억 원으로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흑자 전환이 예상되면서 회사의 재무 구조는 안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Takeda, Amgen과의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기대되며, 이는 장기적인 성장의 발판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LCB84의 임상 결과가 긍정적이지 않을 경우, 또한 Enhertu와 Trodelvy와 같은 경쟁 제품들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경우, 리가켐바이오의 점유율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리가켐바이오는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모두 갖춘 기업으로, 향후 바이오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Trop-2 ADC의 성공 여부가 주가 상승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오 주식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라면 리가켐바이오의 향후 행보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