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주린이의 주식일기 ( 8/17 - 바디텍메드 )

찌누짱 2024. 8. 17. 08:44

내용

오늘은 최근에 강한 성향을 보이는 바이오 섹터 중에 동물 의약품 관련주 바디텍메드와 미국 물가 안정 정책 중 하나인 IRA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바디텍메드 ( 19,440원 - 8/16일 기준 )

 1. 바디텍메드 2Q24 실적 리뷰 및 2024년 전망: 지속 가능한 성장과 신사업 기대감

 2024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한 바디텍메드가 또 한 번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매출 362억 원, 영업이익 93억 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각각 9.5%, 57.0% 성장했고, 전년 동기 대비로도 매출은 3.7%, 영업이익은 13.3%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률(OPM)은 25.6%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경영 성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교보증권의 추정치(매출 365억 원, 영업이익 85억 원)에 부합하는 결과로, 바디텍메드의 탄탄한 실적 기반을 재확인시켜 준 분기였습니다.

 

 2. 실적 호조의 배경

바디텍메드의 주력 수출 시장인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아시아에서의 매출 성장은 기대한 대로 순항 중입니다. 이러한 지역에서의 꾸준한 성장은 바디텍메드의 글로벌 영업 전략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2분기 동안 판관비 측면에서 특이사항이 없었으며, 우호적인 환율 환경이 호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외부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탄탄한 사업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2024년 전망

 2024년 바디텍메드는 매출 1,493억 원, 영업이익 365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1.3%, 28.0% 증가한 수치로, 올해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교보증권의 기존 추정치(매출 1,491억 원, 영업이익 372억 원)와 거의 일치하는 예상으로, 바디텍메드는 연초에 제시된 목표를 흔들림 없이 달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전망은 바디텍메드의 기존 사업이 안정적인 궤도에 올라 있음을 시사하며, 신사업 진출을 위한 여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4. 신사업 진출과 투자 포인트

 바디텍메드의 가장 주목할 만한 투자 포인트는 동물의약품 진단 시장 진출입니다. 동사는 현재 글로벌 동물의약품 기업과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며, 2025년부터는 반려동물 진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려동물 진단 시장은 동물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바디텍메드의 진출은 장기적인 성장 동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특히, 반려동물 진단 시장에서 경쟁하는 Idexx Laboratories ( 반려동물 수의학, 가축 및 가금류, 낙농 및 수질 검사 산업을 위한 제품을 개발, 제조 및 유통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기업 )는 강력한 POCT( 임상현장 즉시검사 ) 진단 플랫폼과 10분 내 진단 완료가 가능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Idexx의 OPM은 30%를 넘으며, 2024년과 2025년 예상 주가수익비율(P/E)은 각각 55배, 45배에 달해, 같은 동물의약품 시장의 Zoetis( 동물 건강 미국 회사다. 의약품, 백신, 진단 제품 및 서비스, 바이오 디바이스, 유전자 검사 및 정밀 동물 건강의 발견, 개발, 제조 및 상용화에 주력하는 회사 )보다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는 Idexx의 차별화된 경쟁력과 높은 성장 잠재력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바디텍메드는 이러한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진출할 경우, 기존의 POCT 진단 영역에서 입증된 수익성 및 성장률을 기반으로 기업 가치를 재평가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바디텍메드는 POCT 진단 분야에서 연간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반려동물 진단 시장 진출이 가시화되면, 시장에서의 기대감이 반영되어 멀티플 확장과 함께 기업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5. 결론

바디텍메드는 2024년 2분기 실적을 통해 기존 사업의 안정성을 재차 입증했으며, 2024년 한 해 동안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더욱이, 동물의약품 진단 시장 진출이라는 신사업이 가시화되면서 향후 바디텍메드의 성장 잠재력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로서는 신사업 진출에 따른 리스크보다는 높은 성장 잠재력이 더 크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바디텍메드에 대한 투자의견은 ‘BUY’로 유지하며, 목표 주가 26,000원 역시 변함없이 제시됩니다. 바디텍메드는 앞으로도 주목할 만한 성장 스토리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 IRA 약가 협상: 제약·바이오 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투자 전략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은 바이든 대통령의 주요 헬스케어 정책 중 하나로, Medicare Part D에서 지출이 가장 큰 약물의 가격을 협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협상 결과 발표로 인해 2026년부터 약 10개의 주요 약물의 가격이 최대 79%까지 인하될 예정입니다. 이 중 가장 큰 가격 인하가 이루어진 약물은 Merck의 Januvia로, 약 79% 인하된 $113/월로 판매될 예정입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당뇨 및 혈전 치료제의 가격이 대폭 삭감되었습니다.

 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이 가격 인하가 실제 제약사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점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제약사가 이미 다양한 리베이트와 할인 구조를 통해 Net Price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BMS의 Eliquis는 List Price가 약 55.7% 인하될 예정이지만, 예상 매출 감소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제약사의 매출이 List Price가 아닌 Net Price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이 Net Price에 대한 인하폭은 List Price 인하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Eliquis의 경우 2026년과 2027년 매출액이 각각 $8.5-10.5bn, $8.0-10.0bn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 연간 매출액 $8.6bn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는 IRA에 따른 약가 인하가 Eliquis의 Net Price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임을 보여줍니다. BMS는 2028년 특허 만료 이후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으로 인한 간접적인 가격 하락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IRA에 따른 직접적인 약가 인하보다는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 시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허 만료 이후의 경쟁 심화와 가격 인하로 인해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특허 만료를 앞둔 의약품을 보유한 제약사에 대한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또한, IRA 법안이 대선 결과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해리스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약가 협상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제약사에 추가적인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트럼프 후보가 당선될 경우 IRA 약가 협상이 폐지되고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의 사용이 촉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국내 바이오텍 및 시밀러 제조사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셀트리온과 같은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강자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IRA 약가 협상이 제약·바이오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이 주요 변수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각 제약사의 특허 만료 시점과 이후의 전략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선 결과에 따른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변동성 높은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