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주린이의 주식 일기 (11/1 - 한화솔루션 )

찌누짱 2024. 11. 1. 00:57

한화솔루션: 3분기 적자 지속과 4분기 회복 가능성

 한화솔루션은 최근 몇 년간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 걸쳐 활발히 사업을 확장해 왔으나, 2024년 3분기에는 매출액 2.8조 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 810억 원과 당기순손실 3,87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화학 부문의 실적 부진과 미국 공장의 일시적 정전 등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리포트는 미국 내 태양광 모듈 공장의 생산 차질과 모듈 사업 수익성 회복 지연 등이 당사의 목표치에 미치지 못한 배경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3분기 실적: 신재생에너지 부문과 화학 부문

 3분기 신재생에너지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18% 증가하여 1.2조 원에 이르렀으나, 매출의 일부는 4분기로 이월되었고 미국 공장의 정전으로 출하량 증가가 제한되었습니다. 반면, 화학 부문은 대규모 적자가 지속되었고 한화토탈의 지분법 손실 또한 실적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분기 동안 주요 시장의 판가 변동성이 축소되면서 모듈 사업의 수익성 회복이 예상보다 느렸습니다. 그러나 4분기에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 발전자산 매각이 반영되면서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예상 매출액은 3.5조 원, 영업이익은 399억 원으로 흑자 전환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미국 태양광 시장과 AMPC 효과

 미국 시장에서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모듈 판매는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현재 미국의 연간 판매 가이던스는 8GW로 하향 조정되었지만, 내년 하반기부터 신규 공장 가동이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또한 AMPC(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정책에 따라 약 5,000억 원의 수혜를 예상하며,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현금 유동성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분간 차입금 증대와 자본 축소로 인한 부채 부담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향후 주가 변동성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전망과 주요 리스크 요인

 한화솔루션의 연간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기존 539억 원에서 165억 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또한 2024년 매출 가이던스는 1.8% 줄어든 11.3조 원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이는 주로 화학 산업의 글로벌 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에 기인하며, 내년 하반기까지는 수익성 회복이 더딜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2025년에는 165억 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되며, 매출액 또한 점진적 회복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리포트는 한화솔루션의 현금 흐름 개선을 위해 AMPC의 유동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약 5천억 원에서 6천억 원 규모의 현금 확보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다만, 미국 공장의 가동 지연, 정전에 따른 보상금 불확실성 등 여러 리스크 요인이 상존합니다. 따라서 향후 수익성은 이러한 외부 요인들이 안정화된 후에야 점진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한화솔루션).

투자 전략 및 전망

 한화솔루션의 목표 주가가 30,000원으로 유지되면서, 현 주가 대비 40% 이상의 상승 여력이 기대됩니다. 그러나 화학 부문에서의 부진한 실적과 재무 구조의 부담이 주가 회복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투자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자산 매각 등으로 유동성을 확보한다면, 장기적으로 긍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부문의 성장 가능성과 AMPC 정책 혜택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주가 상승 여력을 가지고 있으나,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투자자들은 향후 공장 가동 일정, 발전 자산 매각 등 이슈에 주목하면서 점진적인 포트폴리오 접근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반응형